민주당 '감사완박' 당론 추진…최재형 "불법과 비리 얼마나 많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당은 "169석 다수당의 횡포"라며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에 이은 ‘감사완박’"이라고 반발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헌법상 감사원은 대통령 소속 기관이지만 대통령으로부터도 직무상 독립하여 감사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감사원은 대통령에게도 미리 감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받거나 그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다"라며 "헌법 체계를 파괴하는 민주당의 기상천외한 발상은 가리고 덮어야 할 지난 정부의 불법과 비리가 얼마나 많은지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 감사 대상자에게 감사 사유를 사전에 통지하고, 감사원 공무원 임면권자를 대통령에서 감사원장으로 변경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감사원 직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했을 때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겠다고도 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개정안이 "초헌법적 범죄은폐용 개악"이라며 "민주당은 국회 다수당의 무기로 '검수완박'에 이어 또다시 위헌적인 '감사완박'을 꾀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양 대변인은 "감사원 특별감찰 시 국회의 승인을 받고 감사 대상자에게는 사전 통지하라는 민주당의 주장은 감사원의 정치적 독립성과 중립성을 침해하는 초헌법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당시 일어났던 북한 어민 북송 및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코로나 백신 수급 지연 문제, 2022년 3월 대선 선관위의 ‘소쿠리 투표’ 논란,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 등과 관련한 감사를 진행 중이다.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됐던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전현희 권익위원장 등과 관련한 기관 감사도 벌이고 있다.
민주당이 밀어붙이려는 감사원법이 통과되면, 감사원은 이 같은 감사에 착수하기 전 감찰계획서를 국회에 제출하고 감사 개시 여부를 승인받아야 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