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6년 만에 총파업 나서나…당국 "대화 통해 입장차 조율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객 불편 최소화, 비상대응계획 차질없이 시행"
파업 현실화 될 경우 6년만, 참여율 높진 않을 듯
파업 현실화 될 경우 6년만, 참여율 높진 않을 듯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16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김소영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 부위원장이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노사간 대화를 통해 입장차이가 원만히 조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5일 오전 열린 금융노조 총파업 대비 금융권 상황 점검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실제 파업이 발생할 경우 고객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기관별 비상대응계획을 차질없이 시행해주길 바란다"며 "특히 개별 금융기관의 파업에도 시스템 차원에서는 정상적인 영업·운영이 가능하도록 전산업무를 비롯한 금융기관 업무연속성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금융노조 파업이 현실화 되면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에 발생하게 된다. 노조 측에 따르면 전국 7000여 사업장에서 조합원 10만명이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지난달 19일 파업 가결 이후 지금까지 금융노조와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은 주요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금융노조는 임금 인상률의 경우 5.2%를, 사측은 1.4%를 제시한 상태다. 또 ▲근로시간 단축(주 4.5일 근무제 1년 시범 실시) ▲ 점포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제도 개선 ▲ 임금피크제 개선 ▲ 금융 공공기관 혁신안 중단 ▲ 산업은행법 개정 전까지 산은 부산 이전 중단 등도 요구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실제 파업 참여율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노조는 소수의 간부만 파업에 참가하기로 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은 파업에 대비해 은행별 자체 비상행동계획을 미리 점검했다. 현재 파업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금융감독원 내에는 '종합상황본부'가 운영 중이다. 파업 진행추이에 맞춰 필요한 조치를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파업 당일에는 은행 본점 및 전산센터 등에 검사인력을 파견해 전산 가동여부 등을 지속 점검토록 하는 등 현장상황에 대응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장인력은 파업 참여인원과 해당 인원의 근무지 무단이탈 여부 등 근태관리의 적정성, 금융소비자 불편사항 등 민원접수 사례, 대체인력 투입현황 등을 중점 점검할 계획"이라며 "유관기관과의 비상연락망도 가동해 필요시 기관간 신속한 협조를 통해 국민 금융활동에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비상대책조직 설치·운영방안 △대체인력 확보대책 △시나리오별 영업점 운영계획 △주요 전산장비·전산시설 보호대책 등 업무연속성계획, IT비상계획을 면밀히 확인했다.
또한 김 부위원장은 금융권이 민생안정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오늘부터 순차적 신청 접수가 시행되는 '안심전환대출'을 비롯해 서민·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경감하기 위한 각종 민생안정 대책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는 금융위를 비롯해 금융감독원, 시중은행(KB·하나·NH·우리·신한·SC·씨티) 부행장, 은행연합회, 금융공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주택금융공사·금융결제원·신용정보원) 부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5일 오전 열린 금융노조 총파업 대비 금융권 상황 점검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실제 파업이 발생할 경우 고객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기관별 비상대응계획을 차질없이 시행해주길 바란다"며 "특히 개별 금융기관의 파업에도 시스템 차원에서는 정상적인 영업·운영이 가능하도록 전산업무를 비롯한 금융기관 업무연속성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금융노조 파업이 현실화 되면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에 발생하게 된다. 노조 측에 따르면 전국 7000여 사업장에서 조합원 10만명이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지난달 19일 파업 가결 이후 지금까지 금융노조와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은 주요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금융노조는 임금 인상률의 경우 5.2%를, 사측은 1.4%를 제시한 상태다. 또 ▲근로시간 단축(주 4.5일 근무제 1년 시범 실시) ▲ 점포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제도 개선 ▲ 임금피크제 개선 ▲ 금융 공공기관 혁신안 중단 ▲ 산업은행법 개정 전까지 산은 부산 이전 중단 등도 요구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실제 파업 참여율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노조는 소수의 간부만 파업에 참가하기로 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은 파업에 대비해 은행별 자체 비상행동계획을 미리 점검했다. 현재 파업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금융감독원 내에는 '종합상황본부'가 운영 중이다. 파업 진행추이에 맞춰 필요한 조치를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파업 당일에는 은행 본점 및 전산센터 등에 검사인력을 파견해 전산 가동여부 등을 지속 점검토록 하는 등 현장상황에 대응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장인력은 파업 참여인원과 해당 인원의 근무지 무단이탈 여부 등 근태관리의 적정성, 금융소비자 불편사항 등 민원접수 사례, 대체인력 투입현황 등을 중점 점검할 계획"이라며 "유관기관과의 비상연락망도 가동해 필요시 기관간 신속한 협조를 통해 국민 금융활동에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비상대책조직 설치·운영방안 △대체인력 확보대책 △시나리오별 영업점 운영계획 △주요 전산장비·전산시설 보호대책 등 업무연속성계획, IT비상계획을 면밀히 확인했다.
또한 김 부위원장은 금융권이 민생안정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오늘부터 순차적 신청 접수가 시행되는 '안심전환대출'을 비롯해 서민·취약계층의 어려움을 경감하기 위한 각종 민생안정 대책들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는 금융위를 비롯해 금융감독원, 시중은행(KB·하나·NH·우리·신한·SC·씨티) 부행장, 은행연합회, 금융공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한국자산관리공사·한국주택금융공사·금융결제원·신용정보원) 부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