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지지율 두 달 만에 30%대 복귀…긍정 33%·부정 59% [갤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두 달 만에 30%대로 복귀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3~15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이전 조사 대비 6%포인트 오른 33%로 집계됐다. 부정 평가는 이전 조사 대비 4%포인트 내린 59%였다. '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5% 등으로 조사됐다.
갤럽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7월 셋째 주 32%를 기록한 이후 직전 조사까지 24~28% 사이에서 움직여왔다. 최근 반등세는 핵심 지지층의 결집 때문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윤 대통령이 지지율 상승은 국민의힘 지지층(67%)과 70대 이상(62%) 응답자에게서 두드러졌다. 추석 전인 9월 첫째 주와 비교할 때도 이들에게서의 변화가 큰 편이라고 갤럽은 분석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9%), '전반적으로 잘한다',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이상 7%), '주관/소신'(6%) 등이 꼽혔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 살피지 않음', '인사(人事)' 문제를 이유로 꼽은 비율이 각각 11%로 가장 많이 지적됐다. 지난 7월 초부터 부정 평가 이유에서 줄곧 20% 넘는 비중을 차지했던 '인사' 문제가 이번 주에는 11%로 하락했다.
이밖에 '경험·자질 부족/무능함'(9%), '전반적으로 잘못한다'(7%), '김건희 여사 행보', '독단적/일방적', '외교'(이상 4%) 등도 부정 평가 항목으로 거론됐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이 전주 대비 2%포인트 오른 38%, 민주당이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한 31%로 양당 간 격차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 이밖에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25%, 정의당 지지율은 4%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무선(90%)·유선(10%)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한국갤럽이 지난 13~15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이전 조사 대비 6%포인트 오른 33%로 집계됐다. 부정 평가는 이전 조사 대비 4%포인트 내린 59%였다. '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5% 등으로 조사됐다.
갤럽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7월 셋째 주 32%를 기록한 이후 직전 조사까지 24~28% 사이에서 움직여왔다. 최근 반등세는 핵심 지지층의 결집 때문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윤 대통령이 지지율 상승은 국민의힘 지지층(67%)과 70대 이상(62%) 응답자에게서 두드러졌다. 추석 전인 9월 첫째 주와 비교할 때도 이들에게서의 변화가 큰 편이라고 갤럽은 분석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9%), '전반적으로 잘한다',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이상 7%), '주관/소신'(6%) 등이 꼽혔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 살피지 않음', '인사(人事)' 문제를 이유로 꼽은 비율이 각각 11%로 가장 많이 지적됐다. 지난 7월 초부터 부정 평가 이유에서 줄곧 20% 넘는 비중을 차지했던 '인사' 문제가 이번 주에는 11%로 하락했다.
이밖에 '경험·자질 부족/무능함'(9%), '전반적으로 잘못한다'(7%), '김건희 여사 행보', '독단적/일방적', '외교'(이상 4%) 등도 부정 평가 항목으로 거론됐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이 전주 대비 2%포인트 오른 38%, 민주당이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한 31%로 양당 간 격차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 이밖에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25%, 정의당 지지율은 4%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무선(90%)·유선(10%)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