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카카오는 0.74% 내린 6만6900원에 마감했습니다. 작년 6월 고점(17만3000원) 대비 61% 급락했습니다. 네이버도 2.44% 내린 22만원에 마감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두 회사의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는 경기 침체가 광고 시장까지 번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는 올해 영업이익이 1조3808억원으로 전년 대비 4.18%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영업이익이 7448억원으로 25% 늘어나지만 작년에 비해 성장률이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미들은 두 종목으로 평균 30%의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 고객들의 카카오 평균 매수가는 10만3258원입니다. 16일 종가 대비 35% 낮은 수준입니다. 네이버 평균 매수가는 32만5620원입니다. 손실이 31%에 달합니다.


한 펀드매니저는 “상황에 보유 비중을 조절한 적은 있지만 한 번도 네이버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매니저는 “네이버는 사용자 대부분이 무료로 이용하는 플랫폼으로 수익화 여지가 무궁무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카카오는 매니저에 따라 호불호가 엇갈립니다. 다만 일부 매니저는 올인에 가까운 충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운용사 매니저는 “카카오는 엔터, 모빌리티, 메신저 등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모든 사업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여의도 증권가 소식과 개미들 이야기를 다룬 <불개미 구조대>는 매주 토요일 연재됩니다. 아래 기자페이지를 구독하면 기사를 놓치지 않고 받아볼 수 있습니다.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