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바 해외 매각만은 막는다"…日기업 컨소시엄 구성하나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릭스·주부전력 등 도시바 인수전 참여 검토
유일한 일본 인수후보 JIP와 컨소시엄 구성
베인 등 글로벌PE 주도하던 매각구도 변할듯
유일한 일본 인수후보 JIP와 컨소시엄 구성
베인 등 글로벌PE 주도하던 매각구도 변할듯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대형 전력회사인 주부전력과 종합 금융그룹인 오릭스 등 복수의 일본 기업이 도시바 인수전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18일 보도했다. 도시바 인수전의 주요 후보 가운데 하나인 일본산업파트너스(JIP)가 10곳이 넘는 일본 기업에 참여를 요청하면서다.
도시바는 회사 지분 25% 이상을 보유한 외국계 행동주의펀드와의 분쟁을 마무리하기 위해 지난해 회사 분할을 추진했다. 하지만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자 분할안을 철회하고 공개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6월 예비입찰에는 10곳의 인수후보가 참여했다. 도시바 이사회는 7월19일 JIP와 미국 PEF인 베인캐피털, 영국 CVC캐피털파트너스, 캐나다 인프라 전문 펀드인 브룩필드 등 네 곳을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로 선정했다. 네 곳의 인수후보 가운데 유일한 일본 자금인 JIP는 일본 국부펀드인 일본투자공사(JIC)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1차 관문을 통과했다.
지금까지는 베인캐피털과 같이 자금력이 절대 우위인 글로벌 PE의 우세가 점쳐졌다. 베인캐피털은 2018년 SK하이닉스와 공동으로 도시바의 메모리반도체사업부인 도시바메모리(현 키오시아홀딩스)를 인수한 경험도 있다.
자금력이 약점으로 지적됐던 JIP가 일본 대기업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면 단번에 유력 후보로 올라선다는 분석이다. 원자력발전소 등 경제안보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도시바를 인수하려면 일본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시바는 이르면 이달말 본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상당수 고객 기업들은 해외 PE에 매각되는 상황을 반기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도시바는 자체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춰 개발하는 제품이 많기 때문이다. 올 초에는 일본 최대 윤전기 제조회사인 도쿄기계제작소가 홍콩계 사모펀드(PEF)의 적대적 인수 위협에 처하자 요미우리신문 등 33개 신문사가 회사를 공동 인수한 사례가 있다.
인수후보들은 대주주의 보유 지분을 인수하면 잔여 지분의 공개매수를 실시해 도시바를 상장폐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바의 현재 시가총액은 2조1882억엔(약 21조2616억원)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한 전체 인수가격은 3조엔에 달할 전망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