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이 나 홀로 폭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원자재 가격이 경기침체 공포로 일제히 하락하고 있는 것과 딴판이다. 리튬이 전기자동차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데다 중국과 남미 국가들이 ‘리튬 보호주의’를 강화하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역대 최고가 경신한 리튬

19일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리튬 가격은 지난 14일 ㎏당 482.5위안(약 9만6000원)을 기록했다. 1년 전(142위안) 대비 네 배 가까이 급등했다. 이달 초 사상 최초로 480위안대에 진입하면서 4월 기록한 역대 최고가(471.5위안)를 경신했다. 리튬 가격은 5월 초부터 한때 하락세를 보였지만 6월 초부터 다시 가격이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니켈 코발트 망간 등 다른 배터리 광물이 경기침체 여파로 올 들어 20% 이상 급락한 것과 대조된다. 지난 15일 기준 니켈 가격은 t당 2만3310달러로, 6개월 전(3만5550달러) 대비 34.4% 급락했다. 같은 기간 코발트는 37.1%, 망간은 22.4% 급락했다.

전기차 배터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리튬은 다른 희소 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풍부하다. 문제는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등 배터리에 쓰이는 화합물로 정제·가공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데 있다. 가공 과정에서 환경 파괴 우려가 크고 대규모 인력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리튬 가공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진다. 리튬 국제가격이 미국 달러가 아니라 중국 화폐 단위인 위안으로 책정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리튬을 앞세운 남미 국가의 ‘자원 무기화’ 정책도 표면화하고 있다.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가 남미의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염호 등 ‘리튬 삼각지’에 몰려 있다. 이들 국가의 좌파 정부가 더 큰 이윤을 얻기 위해 광물 생산 통제에 나서면서 리튬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욱이 리튬은 국내 배터리 업체가 주력 생산하는 NCM(니켈 코발트 망간) 삼원계 배터리와 중국이 주도하는 LFP(리튬 인산 철) 배터리에 모두 쓰인다. 테슬라 등 전기차 업체들은 고가의 코발트를 대체하기 위해 LFP 배터리 적용 비중을 더 늘리고 있다. 미국 최대 리튬 생산 업체 앨버말의 켄트 마스터스 최고경영자(CEO)는 “당분간 리튬 공급이 크게 늘지 않을 것”이라며 “7~8년 동안은 리튬 공급이 매우 빠듯할 것”으로 내다봤다.

○테슬라도 리튬 정제 채비

리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배터리 업체엔 비상이 걸렸다. 통상 배터리 소재 및 완제품 업체는 장기계약을 통해 리튬을 공급받는다. 다만 공급가격은 통상 시장가격 기준으로 정해진다. 특정 기간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 리튬 가격이 상승하면 구입 비용이 대폭 증가하면서 원가 부담이 대폭 커진다는 뜻이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는 직접 리튬 정제에 뛰어들겠다는 계획이다.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텍사스주에 리튬 정제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주 정부 승인을 받으면 4분기에 착공해 2024년 가동할 예정이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올 4월 “리튬 가격이 미친 수준까지 올랐다”며 채굴·정제 사업에 뛰어들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업계에선 다른 배터리 업체들도 중국이 장악한 리튬 공급망에서 탈피하기 위한 시도를 서두를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러시아 등 특정 국가에서 제조된 배터리 원자재를 사용하면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란 변수가 더해지면서 업체들의 행보가 한층 더 빨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