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예술은 매일 죽고 다시 산다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나이 지긋한 어느 화가가 젊은 남자를 앉혀 두고 초상화를 그린다. 한참의 시간이 흐르고 그림을 마무리한 순간 화가는 큰 붓을 들어 올린다. 그러고는 다른 색으로 덧칠해 버린다. 기껏 그린 초상화는 흔적도 없이 지워지고 만다. 초상화는 그려지고 지워지길 18일째 반복한다. 종결도 성취도 없이 이어지는 작업에 모델은 지쳐만 간다. 그림은 과연 완성될 수 있을까.

스탠리 투치 감독의 ‘파이널 포트레이트’(2018년)는 스위스 조각가이자 화가인 알베르토 자코메티(1901~1966·위 사진)를 그린 영화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의자에 앉아 있던 초상화 모델은 미국 출신 작가 제임스 로드다. 로드가 당시의 경험을 녹여낸 소설 <작업실의 자코메티>가 영화의 원작이다. 영화에서는 배우 제프리 러시가 자코메티 역을, 아미 해머가 로드 역을 맡았다.

그의 예술은 매일 죽고 다시 산다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자코메티는 미술시장에서 최고가 기록을 연이어 경신한 인물로 유명하다. 2010년 ‘걸어가는 사람’이 런던 소더비 경매 역사상 최고가(1억423만달러), 2015년엔 ‘가리키는 남자’가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최고가(1억4130만달러)에 팔렸다. 현대미술계 최고의 거장 파블로 피카소조차 스무 살이나 어린 자코메티에게 자기 작품의 비평을 요청하기도 했다.

자코메티는 조각과 회화에서 두루 두각을 나타냈으며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얼굴과 몸은 대부분 마르다 못해 앙상하다. 나약하고 소외된 인간들은 자코메티의 실존주의적 사상이 표현된 것이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실체는 연약한 것이며, 죽음에 의해 언제든 중단될 수 있다’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영화에서도 자코메티는 괴팍한 예술가로 그려진다. 자신이 실컷 그린 초상화를 지워버리고 조각상을 깨부수며 작업을 수없이 원점으로 되돌렸다. 실존주의를 기반으로 인간의 고독과 본질을 최대한 담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그의 작업엔 끝이 없었다. 파도 파도 끝이 없는 게 인간의 내면인 것처럼 말이다.

자코메티의 예술은 그렇게 매일 죽고 매일 다시 태어났다. “가장 아쉬운 건 사람이 딱 한 번 죽는다는 점이다.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뀔 것이다. 나는 매일 죽고 다시 태어난다. 내 작품들도 매일 죽고 다시 태어날 것이다.”

자코메티는 성공 가도를 달리면서도 늘 낡고 초라한 작업실에 머물렀다. 그 안에서 창작 세계를 펼쳤다. 자코메티의 구도자적 면모는 작품에 잘 담겨 있다. ‘걸어가는 사람’은 바스러질 것 같은 상황에서도 우뚝 서서 묵묵히 걸어가는 인간을 보여준다. ‘가리키는 남자(아래 사진)’ 역시 자신이 나아가야 할 길이 어딘지 명확히 알고 가리키며, 위대한 여정이 시작될 것임을 암시한다.

삶은 고행 그 자체다. 성공의 끝에 또 다른 고난이 기다리고 있다. 자코메티는 이를 담담히 받아들이며 끝없는 산들을 넘고 또 넘었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 그 끝이 어딘지 알 수는 없지만 나는 걷는다. 그렇다. 나는 걸어야만 한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