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자극 적고 체내서 잘 분해…모발 이식 때 활용 가능
와인 떫은맛 성분 '타닌'으로 생체친화적 접착제 제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서명은·이해신 교수 연구팀이 와인의 떫은맛 성분인 타닌산(tannic acid)과 생체에 적합한 고분자를 섞어 생체친화적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폴리페놀의 일종인 타닌산은 과일껍질·견과류·카카오 등에 많이 들어 있는데, 접착력과 코팅력이 강해 다른 물질과 빠르게 결합한다.

와인을 마시면 떫은맛을 느끼는 것은 타닌산이 혀에 붙기 때문이다.

물에 녹는 고분자와 타닌산을 섞으면 마치 젤리처럼 끈적이는 작은 액체 방울 코아세르베이트가 생기는데, 근본적으로 액체에 가까워 접착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과 폴리락트산(PLA) 등 두 종류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조합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안약·크림 등에 많이 쓰이는 PEG는 물에 잘 녹지만, 젖산에서 유래한 PLA는 물에 녹지 않는다.

이 둘을 서로 연결한 블록 공중합체를 만들어 물에 넣으면, 물에 녹지 않는 PLA 블록이 뭉쳐 마이셀을 만들고 PEG 블록이 그 표면을 감싸게 된다.

마이셀과 타닌산을 섞어 만든 코아세르베이트는 단단한 PLA 성분으로 인해 고체 같아지고, PEG보다 1천배 넘게 향상된 탄성 계수를 보여 접착력이 훨씬 강해졌다.

금속을 열처리하듯 온도를 올렸다 내리는 과정을 반복한 결과 물질 성질도 100배 이상 향상됐다.

와인 떫은맛 성분 '타닌'으로 생체친화적 접착제 제조
이해신 교수는 "피부 자극이 적고 체내에서 잘 분해되는 특성을 이용해 모발 끝에 이 접착제를 발라 피부에 심는 동물실험을 진행했다"며 "모낭을 옮겨심는 기존 모발 이식 방식이 여러 번 시행하기 어려운 한계를 보완할 새로운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지난달 22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