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가격 29% 올린 엔비디아…"무어의 법칙 끝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황 CEO "비슷한 비용으로 2배 성능 기대하는 건 옛일"
RTX4090 1599달러, RTX4080 899달러로 가격 책정
중국 수출 규제는 대체품으로 타개
RTX4090 1599달러, RTX4080 899달러로 가격 책정
중국 수출 규제는 대체품으로 타개
엔비디아가 반도체 업계에서 정설로 여겨졌던 ‘무어의 법칙’을 부정했다. 비용 부담을 이유로 신규 그래픽처리장치(GPU) 가격도 최대 29% 상향했다. 인공지능(AI)용 반도체의 중국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해선 타개책을 내놨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무어의 법칙은 완전히 끝났다”며 “비슷한 비용으로 2배의 성능을 기대하는 건 업계에서 옛일이 됐다”고 21일(현지시간) 말했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칩의 소자 집적도가 2년 주기로 2배씩 향상된다는 가설이다. 1965년 당시 인텔 최고경영자(CEO)였던 고든 무어가 주장한 이래로 반도체 업계를 대표하는 법칙으로 통용됐다.
황 CEO의 이 같은 발언은 새 제품의 가격 인상 배경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엔비디아는 지난 20일 차세대 GPU인 RTX4090과 RTX4080의 가격을 각각 1599달러, 899달러로 공개했다. 이전 제품인 RTX3090(1499달러), RTX3080(699달러)보다 가격이 각각 7%, 29% 올랐다. 반도체에 쓰이는 12인치 웨이퍼 가격이 급등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게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시장조사업체인 존페들리서치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지난 2분기 기준 세계 GPU 시장에서 점유율 79%를 차지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가격 책정에 따라 고가 PC들의 가격이 출렁거린다는 의미다.
엔비디아는 미국의 규제로 막힌 중국 수출에 대해선 대체품을 내놓겠다는 해결책을 제시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일 엔비디아의 AI용 칩 제품 두 종류에 새 라이선스 획득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수출 중단을 명령했다. 황 CEO는 “미국과 중국 양쪽에서 호환되면서도 라이선스가 필요 없는 제품들을 공급하겠다”며 “중국 고객들을 위해 최고 사양 제품에 대해선 미국 정부에서 라이선스를 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중국은 미국산 제품의 큰 소비자이자 세계 공급망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과 “삼성은 큰 기술력과 규모를 가진 회사로 공급망 호환 측면에서 협업을 이어나갈 수 밖에 없는 관계”라는 말도 덧붙였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무어의 법칙은 완전히 끝났다”며 “비슷한 비용으로 2배의 성능을 기대하는 건 업계에서 옛일이 됐다”고 21일(현지시간) 말했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칩의 소자 집적도가 2년 주기로 2배씩 향상된다는 가설이다. 1965년 당시 인텔 최고경영자(CEO)였던 고든 무어가 주장한 이래로 반도체 업계를 대표하는 법칙으로 통용됐다.
황 CEO의 이 같은 발언은 새 제품의 가격 인상 배경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엔비디아는 지난 20일 차세대 GPU인 RTX4090과 RTX4080의 가격을 각각 1599달러, 899달러로 공개했다. 이전 제품인 RTX3090(1499달러), RTX3080(699달러)보다 가격이 각각 7%, 29% 올랐다. 반도체에 쓰이는 12인치 웨이퍼 가격이 급등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게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시장조사업체인 존페들리서치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지난 2분기 기준 세계 GPU 시장에서 점유율 79%를 차지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가격 책정에 따라 고가 PC들의 가격이 출렁거린다는 의미다.
엔비디아는 미국의 규제로 막힌 중국 수출에 대해선 대체품을 내놓겠다는 해결책을 제시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일 엔비디아의 AI용 칩 제품 두 종류에 새 라이선스 획득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수출 중단을 명령했다. 황 CEO는 “미국과 중국 양쪽에서 호환되면서도 라이선스가 필요 없는 제품들을 공급하겠다”며 “중국 고객들을 위해 최고 사양 제품에 대해선 미국 정부에서 라이선스를 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중국은 미국산 제품의 큰 소비자이자 세계 공급망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과 “삼성은 큰 기술력과 규모를 가진 회사로 공급망 호환 측면에서 협업을 이어나갈 수 밖에 없는 관계”라는 말도 덧붙였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