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중동 왕족 행세를 하며 물건을 판매한 인플루언서들의 계정이 삭제되는 일이 발생했다.20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외국인 배우를 고용해 중동 왕자와 공주를 연기하게 하고 저질 제품을 판매한 인플루언서 계정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정지됐다.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서 팔로워 10만명을 보유한 뤄자린은 고급 빌라 앞에서 아랍인으로 보이는 남성과 함께 있는 영상에서 "제 남편은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우디 가문의 젊은 왕자"라며 "저는 임신 4개월이 넘었다"고 밝혔다.이어 "곧 남편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로 이주할 계획"이라며 "중국에서 수억 위안 규모의 자산을 손해를 보며 팬들에게 돌려주겠다"고 말했다.그녀는 라이브 방송 중 '프랑스산 향수', '영국 왕실 세제'로 불리는 다양한 제품을 모두 50위안 이하로 판매했다.라이브 시청자들은 제품에 대해 의문을 품고 "왕자와 공주가 왜 고급 제품이 아닌 일반 물건을 판매하는지"고 따졌고 이들은 방송에서 퇴장당했다.또 다른 인플루언서도 중동 전통 의상과 스카프를 착용하고 두바이 사람으로 보이는 남성과 함께 등장해 남편과의 이혼으로 자산을 청산한다고 밝혔다.이 라이브 방송에서 300켤레의 스타킹이 6위안(약 1200원)에 판매됐고, 2kg의 영국 세제는 6.99위안(약1400원)에 1000건 이상 주문됐다.두바이 중국 커뮤니티에선 아랍 국가의 어떤 왕족도 중국에서 라이브 방송 판매를 허가한 적이 없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웨이보 한 이용자는 "이 인플루언서들은 성공하고 부유한 엘리트들에 대한 팬들의 동경심과 호기심을 악용하고 있다"고
내년 1월 취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에 국방비 지출을 두 배 이상 늘릴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나마 정부에는 운하 통행료를 인하하지 않으면 소유권을 반환받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당선인의 행보가 과감해지는 모양새다.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의 외교 참모들이 이달 유럽 고위 관계자들과의 논의에서 나토 회원국의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5%로 상향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적용 중인 권고치인 GDP 대비 2%의 두 배를 초과하는 수치다.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운동 당시 제시했던 3%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8월 현 2% 규정에 대해 “세기의 도둑질”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수년간 나토 회원국들은 GDP의 2%에 훨씬 못 미치는 금액만 국방비로 지출해왔고, 이는 미군의 부담만 늘렸다”고 지적했다. 지난 8일에는 미국이 계속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다면 나토에서 탈퇴할 수 있다고 시사하기도 했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에 따르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 추진에 나서고 있다. 전력난을 겪는 베트남이 지난달 원전 개발을 재개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도 원전 도입을 검토 중이다.22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가에너지위원회(MTN)가 제안한 원전 개발 계획을 바탕으로 2035년 이후 전력원의 일부로 원자력을 검토하기로 했다.말레이시아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정한 규정 등을 이행하는 데 약 10년이 걸릴 것이라며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도 이 과정을 신속히 진행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파딜라 유소프 부총리 겸 에너지 전환·수력변환부 장관은 "원자력 사용 추진은 유엔기후변화회의에서 채택된 파리협정, 증가하는 전력 수요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파리협정에 따라 말레이시아는 2050년까지 '넷제로'(탄소중립)를 달성하고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 농도를 45% 감축하기로 했다. 현재 말레이시아 전체 에너지 생산에서 화석 연료는 72%를 차지한다.말레이시아 정부는 2030년 38%, 2050년 70%까지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앞서 2008년 원전 개발 구성을 시작해 2021년까지 원전 2기를 건설할 예정이었지만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2018년 원전 개발이 백지화됐다. 현재까지 가동 중인 원전은 없다.동남아 국가들은 이미 원전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전력난을 겪는 베트남은 최고 의사 결정기관인 공산당 정치국이 지난달 원전 개발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인도네시아는 2050년까지 20기 이상 원전을 도입할 계획이다. 필리핀은 지난 9월 2032년까지 최소 1200㎿ 용량 상업용 원전 가동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