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중소기업이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급증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99.6%가 금리 인상에 대한 대응책이 ‘없다’고 밝힌 것이다.

2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복합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중소기업의 69.2%는 ‘고금리 현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한국과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연이어 올리는 가운데 고금리 리스크 대응 방안에 대해 중소기업의 56.4%는 ‘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마련하고 있으나 다소 불충분하다’(43.2%)는 응답을 합치면 대부분 중소기업이 ‘고금리 쓰나미’에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일부터 2주간 전국 업종별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고금리 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 정책으로는 ‘중소기업 우대금리 적용 확대’(40.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만기 연장 및 상환유예 대상 확대’(37.8%), ‘정책자금 지원 확대’(34.6%), ‘재기를 위한 자산매각 지원’(21%) 등의 순이었다.

회사 경영에서 가장 부담을 느끼는 요인은 원자재가격 급등(76.6%)이었다. 금융비용(이자) 부담 증가(13.5%), 환율 상승(7.1%), 인력난 심화(2.8%)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소기업 72.8%는 작년보다 비싼 가격으로 원자재를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격상승분을 납품단가 또는 판매가에 전부 반영한 중소기업은 2.5%에 불과했다.

고물가에 대응한 정부 정책으로 ‘원자재가격 및 수급정보 제공 지원 강화’(67.8%, 복수응답), ‘원자재 구매금융·보증 지원 강화’(35.6%), ‘납품단가 연동제 조속한 법제화’(33.2%) 등을 요구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중소기업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인력난 등 4중고에 원자재가 상승까지 겹치면서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했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와 대·중소기업의 노동시장 격차 해소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제주=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