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외식할지, 돈을 빌릴지, 새 사업 할지 정할 때 금리·환율이 움직이면 우리 마음도 흔들려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경제 주체(가계·기업·정부)들은 금리와 환율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금리와 환율이 적정선에서 무난하게 움직이면, 경제 주체들은 투자, 무역, 경제정책과 관련한 의사 결정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와 환율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면, 의사 결정을 쉽게 하기 어렵습니다. 위험과 불확실성이 경제 주체들을 고민하게 만들죠.
금리는 모든 경제 활동의 기본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려서 새로운 사업을 하려 하고, 금리가 높으면 돈을 빌리는 데 부담을 느끼고 새 사업을 주저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거죠.
최근 우리나라 금리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기 때문인데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는 모든 금리의 어머니 격입니다. 기준금리가 정해지면 그 위에 다양한 금리가 붙어서 대출·예금금리가 됩니다.
한국은행은 1월, 4월, 5월, 7월, 8월에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연 1.25%로 시작했던 올해 기준금리는 연 2.5%까지 높아졌습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인플레이션, 즉 물가 잡기입니다. 우리가 먹고 쓰는 상품의 가격이 지속해서 오르는 상태를 뜻하는 인플레이션은 가정과 기업을 어렵게 만듭니다. 물가가 너무 오르면 사람들은 소비를 줄입니다. 그러면 동네 가게와 기업들의 장사가 얼어붙습니다. 물론 기준금리를 내리는 경우도 있지요. 소비가 너무 줄어서, 기업 활동이 나빠졌을 때 금리를 낮춰서 소비와 투자를 자극합니다.
한은이 금리를 올린 두 번째 이유는 미국 금리 때문입니다. 미국은 8~9%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많이 올렸습니다. 지금 미국 기준금리는 연 3.0~3.25%로 연 2.5%인 우리보다 높은 상태랍니다. 금리가 미국보다 낮으면 우리나라에 있는 달러 자금 등이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이자를 더 주는 은행에 돈을 넣어두려는 이치와 같습니다. 우리는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줄여야 하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올해 스몰 스텝(0.25%포인트), 빅 스텝(0.5%포인트),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을 밟으면서 금리를 연쇄적으로 인상했습니다. 최근엔 1%포인트를 한꺼번에 올리는 울트라 스텝이라는 말도 생겼습니다. 한국은 미국 스텝을 따라가기 버거운 상태라고 합니다.
환율은 한국은행이 정하지 않습니다. 매일 시장에서 정해집니다. 환율은 달러, 유로, 엔화, 위안화 등 다른 나라들의 돈과 교환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환율은 다양한 이유로 변동합니다. 우리나라 돈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달러를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달러 가치가 올라가죠. 하루 전 1달러를 사려면 1300원을 줬는데 오늘 1320원을 줘야 한다면 환율이 20원 상승한 겁니다. 원화 가치가 그만큼 떨어진 것이죠. 최근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섰으니 환율에 비상이 걸렸다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환율은 한 나라의 경제 상태에 영향을 받습니다. 외화보유액이 적거나, 무역적자가 심하거나, 정부의 재정적자와 국가부채가 많거나, 화폐를 많이 찍어내거나 할 경우엔 환율이 급등(가치 하락)합니다. 정치가 불안할 때, 전쟁이 발생했을 때도 환율이 변동합니다. 최근엔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다는 사실 때문에 환율이 치솟았습니다. 한국에 있는 달러를 빼서 미국으로 가려는 수요가 많아지면 달러가 귀해져서 환율이 오르죠. 환율이 떨어질 때도 있어요. 경제가 잘 성장하면 말이죠.
환율은 수입과 수출에도 영향을 줍니다. 환율이 높으면 원자재 수입 비용을 더 들여야 합니다. 석유 수입 가격도 더 지불하죠. 수입 원가가 너무 오르면 국내 물가를 자극합니다. 이것은 또 금리에도 영향을 주죠.
금리와 환율은 여러분에게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와 환율이 불안해 경제가 어려워지면 부모님의 사업이 나빠지고, 자칫 부모님과 형제가 해고되면 여러분은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유학비 부담이 늘고, 학원비와 교재비 학용품비, 떡볶이와 짜장면 가격이 오를 수도 있고, 용돈이 줄어들 수도 있죠. 경제는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2.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왜 오르는지 본문에서 찾아보자.
3. 금리와 환율이 오르면 가정과 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토론해보자.
금리는 모든 경제 활동의 기본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려서 새로운 사업을 하려 하고, 금리가 높으면 돈을 빌리는 데 부담을 느끼고 새 사업을 주저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거죠.
최근 우리나라 금리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기 때문인데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는 모든 금리의 어머니 격입니다. 기준금리가 정해지면 그 위에 다양한 금리가 붙어서 대출·예금금리가 됩니다.
한국은행은 1월, 4월, 5월, 7월, 8월에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연 1.25%로 시작했던 올해 기준금리는 연 2.5%까지 높아졌습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인플레이션, 즉 물가 잡기입니다. 우리가 먹고 쓰는 상품의 가격이 지속해서 오르는 상태를 뜻하는 인플레이션은 가정과 기업을 어렵게 만듭니다. 물가가 너무 오르면 사람들은 소비를 줄입니다. 그러면 동네 가게와 기업들의 장사가 얼어붙습니다. 물론 기준금리를 내리는 경우도 있지요. 소비가 너무 줄어서, 기업 활동이 나빠졌을 때 금리를 낮춰서 소비와 투자를 자극합니다.
한은이 금리를 올린 두 번째 이유는 미국 금리 때문입니다. 미국은 8~9%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많이 올렸습니다. 지금 미국 기준금리는 연 3.0~3.25%로 연 2.5%인 우리보다 높은 상태랍니다. 금리가 미국보다 낮으면 우리나라에 있는 달러 자금 등이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이자를 더 주는 은행에 돈을 넣어두려는 이치와 같습니다. 우리는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줄여야 하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올해 스몰 스텝(0.25%포인트), 빅 스텝(0.5%포인트),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을 밟으면서 금리를 연쇄적으로 인상했습니다. 최근엔 1%포인트를 한꺼번에 올리는 울트라 스텝이라는 말도 생겼습니다. 한국은 미국 스텝을 따라가기 버거운 상태라고 합니다.
환율은 한국은행이 정하지 않습니다. 매일 시장에서 정해집니다. 환율은 달러, 유로, 엔화, 위안화 등 다른 나라들의 돈과 교환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환율은 다양한 이유로 변동합니다. 우리나라 돈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달러를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달러 가치가 올라가죠. 하루 전 1달러를 사려면 1300원을 줬는데 오늘 1320원을 줘야 한다면 환율이 20원 상승한 겁니다. 원화 가치가 그만큼 떨어진 것이죠. 최근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섰으니 환율에 비상이 걸렸다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환율은 한 나라의 경제 상태에 영향을 받습니다. 외화보유액이 적거나, 무역적자가 심하거나, 정부의 재정적자와 국가부채가 많거나, 화폐를 많이 찍어내거나 할 경우엔 환율이 급등(가치 하락)합니다. 정치가 불안할 때, 전쟁이 발생했을 때도 환율이 변동합니다. 최근엔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다는 사실 때문에 환율이 치솟았습니다. 한국에 있는 달러를 빼서 미국으로 가려는 수요가 많아지면 달러가 귀해져서 환율이 오르죠. 환율이 떨어질 때도 있어요. 경제가 잘 성장하면 말이죠.
환율은 수입과 수출에도 영향을 줍니다. 환율이 높으면 원자재 수입 비용을 더 들여야 합니다. 석유 수입 가격도 더 지불하죠. 수입 원가가 너무 오르면 국내 물가를 자극합니다. 이것은 또 금리에도 영향을 주죠.
금리와 환율은 여러분에게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와 환율이 불안해 경제가 어려워지면 부모님의 사업이 나빠지고, 자칫 부모님과 형제가 해고되면 여러분은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유학비 부담이 늘고, 학원비와 교재비 학용품비, 떡볶이와 짜장면 가격이 오를 수도 있고, 용돈이 줄어들 수도 있죠. 경제는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NIE 포인트
1.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누가 정하는지 알아보자.2.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왜 오르는지 본문에서 찾아보자.
3. 금리와 환율이 오르면 가정과 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토론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