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디맥 "지난 22~28일 미국 모기지 금리 6.7%"
2007년 7월 이후 최고치
일부 업체 조사에선 27일 7.08% 기록
국채 금리 상승세로 당분간 모기지 고금리 계속될 듯
미국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기지 금리가 7%를 넘겼다는 시장 조사도 나왔다. 국채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모기지 금리도 당분간 고공행진을 계속할 것이란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주택담보대출 업체인 프레디맥에 따르면 지난 22~28일 1주일간 미국의 30년 만기 모기지 평균 계약금리는 연 6.7%를 기록했다. 전주(연 6.29%) 대비 0.41%포인트 올랐다. 전년 동기(3.01%)의 2배를 훌쩍 웃도는 수준으로 2007년 7월 이후 가장 높다.
샘 카터 프레디맥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모기지 금리에 영향을 심각하게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모기지의 평균 계약금리도 연 5.30%로 전주(연 4.97%)보다 0.33%포인트 늘었다.
모기지 금리가 연 7%대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부동산 전문매체인 모기지뉴스데일리의 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 27일 미국 30년 만기 모기지 평균 계약금리는 연 7.08%를 기록했다. 이 수치가 7%를 웃돌았던 건 2002년이 마지막이다. 2008년 금융위기 때에도 7%는 넘지 못했던 벽이었다.
고금리에 모기지 시장도 얼어붙었다.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지난 17~23일 1주일간 모기지 재융자 건수는 전주 대비 11% 하락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84% 급락했다. MBA는 “재융자 건수가 2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며 “대출 비용이 급증하면서 전체 모기지 신청 건수 중 변동금리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넘겼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당분간 고금리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모기지 금리는 통상 국채 금리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는데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11월에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올릴 것이 유력해서다. 연초 연 1.5% 수준이였던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29일 연 3.786%까지 치솟았다.
미국 자산관리업체인 브린캐피털의 스콧 부흐타 채권전략 책임자는 “아직 금리가 고점에 다다랐다고 볼 만한 측면이 아무것도 없다”며 “모기지 금리가 추가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의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돌렸다.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선 실시를 요구하며 우회적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을 압박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한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와 정반대 입장을 취한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를 적국으로 간주해온 미국의 외교정책이 변곡점을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우크라 전쟁 시작하지 말았어야”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크라이나인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고 싶다면 먼저 오랫동안 선거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임기는 지난해 5월까지지만 전시 계엄령을 근거로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불법으로 임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선을 실시해야 종전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러시아 측 입장과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국가에서도 이런 얘기가 나온다”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은 또 “당신(우크라이나인)들이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한다”라며 전쟁 발발의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돌렸다.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추진해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했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났다는 러시아 측 논리와 비슷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숙한 협상가였다면 아주 적은 땅을 잃고 인명피해도 없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젤렌스키 정권의 정당성을 깎아내리기 위해 사실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협상에서 배제된 우크라이나가 드론으로 러시아 송유관을 타격했다.1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우크라이나 드론이 카스피 파이프라인 컨소시엄(CPC)의 주요 송유관을 통해 원유 수송을 해주는 펌프장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러시아에서 가장 큰 송유관 펌프장인 크로포트킨스카야가 포함됐다. 우크라이나 총참모부는 이번 공격을 인정하며 “러시아의 불법 전쟁을 뒷받침하는 에너지 인프라를 해체하기 위한 작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는 ‘무인기(드론) 전술’을 통해 러시아를 타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처럼 대규모 병력과 무기를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적 우위에 있는 드론 중심의 군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가볍고 저렴한 드론은 탱크, 탄약고, 지휘소, 에너지 시설 뿐만 아니라 군인을 겨냥한 표적 공격도 가능하다.유럽연합(EU) 외교 싱크탱크인 유럽외교협회(ECFR)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초만 해도 연내 드론 100만대 생산이 목표였지만 10월 400만대로 대폭 늘렸다. 현재 우크라이나에선 100여종의 드론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한경제 기자
지난 17일 캐나다 토론토공항에서 착륙 중 전복된 여객기에서 단 한 명의 사망자도 나오지 않자 외신들이 ‘기적’이라며 주목하고 있다. 탑승자 80명이 모두 살아남을 수 있던 배경으로는 안전한 항공기 설계, 구조대와 승무원의 빠른 대응, 안전벨트 착용이 꼽힌다.18일 추가로 공개된 사고 영상에 따르면 여객기는 전날 오후 2시13분께 공항 활주로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며 기체 하단에서 큰 불길이 치솟았다. 기체가 나동그라지며 완전히 뒤집혔고 기체에서 검은 연기가 올라왔다. 델타항공은 승객 21명이 부상을 당해 병원에 이송됐고 그중 2명을 제외한 모든 승객이 이날 아침 전에 퇴원했다고 밝혔다.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안전을 고려한 항공기 설계, 구조대·승무원의 빠르고 침착한 대응이 인명 피해를 막았다고 분석했다. 그레이엄 브레이스웨이트 영국 크랜필드대 항공 부문 책임자는 “여객기 좌석이 바닥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안전벨트를 튼튼하게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사고 직후 벨트를 맨 승객들은 거꾸로 매달려 있었고, 승무원들이 “모든 것을 놔두고 비상구로 나가라”고 바로 지시한 덕분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했다고 탑승객들은 외신에 전했다.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