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정신질환 진료인원 12% 증가…직장인·공무원 많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9년~2021년 건보공단 자료 비교…최혜영 "노동조건, 직장인 정신건강에 열악"
코로나19 유행 후 국내 정신질환 진료 인원이 12%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에게서 가장 많이 늘었는데, 증가율은 여러 업종 중 공무원에게서 가장 높았다.
4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으로 국내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는 코로나19 국내 발생 이전인 2019년 362만7천452명이었던 것이 발생 2년차인 2021년 405만8천855명으로 11.9% 증가했다.
건강보험 가입자격별로 보면 정신질환 진료 인원은 직장가입자(피부양자 제외)에게서 21.3%나 늘어 지역가입자(13.8%)와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7.7%)보다 증가율이 높았다.
우울증, 스트레스, 불안장애 등 다빈도 정신질환만 놓고 보면 직장가입자의 증가율은 26.5%나 됐다.
지역가입자와 피부양자는 각각 15.1%, 8.1% 늘었다.
특히 공무원 중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의 비중이 높았다.
작년 전체 공무원 가입자 119만7천584명 중 4.30%인 5만1천513명이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았는데, 이런 비율은 2019년 3.45%보다 0.85%p나 높아진 것이다.
작년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의 비율을 업종별로 보면 공공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4.23%, 부동산·임대·사업서비스가 3.86%, 교육서비스가 3.67%, 전기·가스·수도가 3.39%였다.
코로나 전후 정신질환 진료 인원의 증가율은 20대가 30.4%로 가장 높았고, 10세 미만(19.7%), 30대(18.2%), 10대(14.9%), 60대(14.4%) 순이었다.
50대(0.8%), 40대(7.5%), 70대 이상(9.9%)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 의원은 " 정신질환을 겪는 직장인의 비율이 특히 높은 것은 한국의 노동조건이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에 열악하다는 의미"라며 "코로나19 방역에 애써준 공무원들의 노고가 컸지만,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호소한 경우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직장인에게서 가장 많이 늘었는데, 증가율은 여러 업종 중 공무원에게서 가장 높았다.
4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으로 국내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는 코로나19 국내 발생 이전인 2019년 362만7천452명이었던 것이 발생 2년차인 2021년 405만8천855명으로 11.9% 증가했다.
건강보험 가입자격별로 보면 정신질환 진료 인원은 직장가입자(피부양자 제외)에게서 21.3%나 늘어 지역가입자(13.8%)와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7.7%)보다 증가율이 높았다.
우울증, 스트레스, 불안장애 등 다빈도 정신질환만 놓고 보면 직장가입자의 증가율은 26.5%나 됐다.
지역가입자와 피부양자는 각각 15.1%, 8.1% 늘었다.
특히 공무원 중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의 비중이 높았다.
작년 전체 공무원 가입자 119만7천584명 중 4.30%인 5만1천513명이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았는데, 이런 비율은 2019년 3.45%보다 0.85%p나 높아진 것이다.
작년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를 받은 사람의 비율을 업종별로 보면 공공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4.23%, 부동산·임대·사업서비스가 3.86%, 교육서비스가 3.67%, 전기·가스·수도가 3.39%였다.
코로나 전후 정신질환 진료 인원의 증가율은 20대가 30.4%로 가장 높았고, 10세 미만(19.7%), 30대(18.2%), 10대(14.9%), 60대(14.4%) 순이었다.
50대(0.8%), 40대(7.5%), 70대 이상(9.9%)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 의원은 " 정신질환을 겪는 직장인의 비율이 특히 높은 것은 한국의 노동조건이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에 열악하다는 의미"라며 "코로나19 방역에 애써준 공무원들의 노고가 컸지만,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호소한 경우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