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풍산이 방산부문 물적분할 계획을 철회했다.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4일 풍산은 공시를 통해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 속에서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업구조개편을 추진했으나 반대주주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검토한 결과 분할절차 중단 및 분할계획서를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소액주주 보호 기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풍산은 8.64% 오른 2만6400원에 마감했다. 풍산 모회사인 풍산홀딩스도 5.3% 상승 마감했다.

풍산은 지난달 7일 방산 부문 분할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10월 31일 임시주주총회 승인을 통해 12월 '풍산디펜스(가칭)'를 출범시킬 예정이었다. 하지만 알짜 사업부를 분할한다는 소식에 3만3000원까지 올랐던 주가는 2만3000원대까지 급락했다.

소액주주들은 “방산 부문을 보고 투자했는데 물적 분할로 주주가치가 훼손됐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신설 법인을 100% 비상장 회사로 둔다는 계획도 반발을 막지 못했다. 물적 분할을 하더라도 비상장 회사로 남으면 기업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풍산 주주들은 다른 회사 주주들과 물적분할 반대 주주연합을 결성하고 회사에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주주제안을 제출했다.

이 여파로 류진 풍산 회장이 오는 6일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회는 풍산을 주주 이익을 소홀히 여기는 대표적 사례로 꼽고 주주가치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 등을 추궁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풍산 사업부문은 구리 제품을 생산하는 신동과 탄약을 만드는 방산으로 나뉜다. 각각 매출의 70%, 30%를 차지한다.

방산 부문은 작년까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신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러시아산 탄약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세계 각국에서 나타나면서다. 풍산은 투자 및 인수합병(M&A)을 통해 방산을 세계 50위권으로 육성할 방침이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