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PCM20211031000002990_P4.jpg)
하지만 전세가율이 높은 6억원 이하 수도권 아파트 가구 수는 3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확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내집 마련 선택지는 여전히 좁다는 의미다.
5일 부동산R114가 지난달 23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335만8천292가구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을 조사해 가격 구간별 산술평균을 낸 결과 매매가격(시세)이 낮을수록 전세가율이 높았다.
수도권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격이 6억원 이하일 때 전세가율은 62.3%였고, 6억∼9억원 이하 아파트는 58.0%, 9억∼15억원 이하 54.8%, 15억원 초과 49.8% 순으로 매매가격 구간이 높아질수록 전세가율은 하락했고, 매매가가 낮아지면 전세가율은 높아졌다.
서울 118만2천956가구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6억원 이하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57.5%로 가장 높았고, 6억∼9억원 이하 54.8%, 9억∼15억원 이하 53.6%, 15억원 초과 49.1% 등이었다.
그러나 매매가 6억원 이하 수도권 아파트의 가구 비중은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9월 20일 기준 매매가 6억원 이하 수도권 아파트는 279만4천337가구로 전체의 73.5%를 차지했지만, 지난달 23일 기준 6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수는 131만389가구로 전체의 39.0% 수준으로 거의 반 토막 났다.
반면 같은 기간 6억∼9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비중은 13.8%에서 27.9%로 늘었고, 9억∼15억원 이하(7.9%→21.2%), 15억원 초과(4.8%→11.9%) 등으로 모두 증가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쉬운 6억 이하 아파트 가구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서민들의 내집 마련 선택지가 그만큼 좁아졌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