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두, 발사지점 후방으로 1㎞ 날아가 기지 내 골프장 낙하…인명사고 겨우 피해
한국형 3축체계 핵심무기 신뢰성 저하 우려…"올해 현무-2C 세차례 사격해 2번 이상무"
"현무 미사일, 민가 700m거리 떨어져"…군, 현무-2C 전수조사
북한의 중거리 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해 4일 밤 발사 직후 비정상 비행 후 추락한 현무-2C 미사일은 발사지점으로부터 전방이 아닌 후방으로 약 1㎞ 날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후방 1㎞ 지점에서 탄두가 발견됐고, 떨어져 나간 추진체는 여기서 400여m 더 후방 지점에서 발견됐으나 이 과정에서 추진제(연료) 연소 이외에 화재나 폭발은 없었다고 군이 5일 밝혔다.

특히 탄두가 발견된 곳의 남쪽 약 700m 지점에 가장 가까운 민가가 위치해 자칫 인명 사고로 이어질 뻔했다.

군은 현무-2C 미사일에 대해 국방과학연구소(ADD), 생산업체 등과 합동으로 낙탄 원인을 분석하고 ADD와 공동 주관으로 탄약 이상 유무를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추락한 미사일은 4일 오후 11시께 강릉 모 비행단 내 사격장에서 발사됐으며 발사 직후 비행단 내 군 골프장 페어웨이에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군은 발사 당일 오전 있었던 북한의 IRBM에 대응해 현무 미사일과 에이태큼스(ATACMS) 지대지 미사일을 동원, 한미 연합 사격에 나선 상황이었다.

추락한 현무-2C 미사일은 원래 동해 방향으로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비정상적으로 비행해 후방, 즉 기지 내부 쪽으로 날아갔다.

당시 현장에는 현무 미사일을 운용하는 육군 미사일전략사령부 사령관이 있었으며, 김승겸 합참의장은 사고 발생 후 합참 전투통제실로 내려가 유선 지휘보고를 받았다.

미사일전략사령관은 현장 안전 상황 전반을 확인해 ATACMS 사격은 가능하다고 보고했고 최종적으로 ATACMS 사격은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합참 관계자는 전했다.
"현무 미사일, 민가 700m거리 떨어져"…군, 현무-2C 전수조사
사고가 난 미사일은 외관 검사는 물론 각종 사격 시스템 및 전체적인 사격 절차 점검을 모두 거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사고 원인을 정밀 분석하면서 탄두가 폭발하지 않은 원인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이번 사고와 함께 현무-2C 전수조사가 이뤄짐에 따라 전력 공백 우려는 물론 현무 미사일이 포함되는 '한국형 3축 체계'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제기된다.

합참 관계자는 "(3축 체계를 위해) 타격자산으로 운영하는 무기 체계는 다양하고 지대지 미사일도 종류가 여럿 있다"며 "전체 보유량이나 계획과 대비해서 운영하는 데 부족함은 없다.

전력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무-2C는 올해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3차례 대응 사격에 동원됐는데 앞서 2번은 문제 없이 진행됐다.

군 관계자는 "현무-2 미사일 전체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전력 운영에는 제한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날 낙탄 후 현장 부대에서는 탄두 폭발 위험반경인 300m 내 인원 및 차량의 접근을 통제하고 주둔부대 장병들을 안전지역으로 대피시켰다.

ATACMS 사격은 미사일 외관 이상 유무 확인하고 사격제원을 3회에 걸쳐 검증하는 등 안전조치 후 시행됐다.

ATACMS는 이날 0시 50분께 재개해 한측과 미측이 각 2발씩 쐈다.

사고 후 문제가 됐던 주민 안내 부실 문제는 앞으로 보완점을 찾겠다고 군이 밝혔다.

군에 따르면 미사일을 운용하는 미사일전략사령부, 지역 책임부대인 육군 8군단 인원을 포함한 지역 어촌계장·이장 등이 미사일 발사 등 훈련 시 '합동홍보팀'으로 활동하며 주민들에게 훈련 사실을 알린다.

또 해상 타격 시 항행경보를 발령해 해양수산부·해경 등에 전파하게 돼 있고 국제적으로도 시간·장소를 공지하게 돼 있다.

이번에도 이런 사전 홍보 절차는 이뤄졌지만, 우발사고가 발생하면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게 군의 해명이다.

사고 후 강릉 일대에서는 굉음, 섬광, 화재를 목격했다는 제보와 신고가 잇따랐다.

다만 군은 추진제 연소에 따른 불꽃 외에 불이 옮겨붙는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미사일이 후방으로 날아오다가 땅에 박히면서 탄두와 추진체가 분리됐고, 추진체가 더 튕겨 나가는 과정에서 연소한 추진제의 모습이 멀리서는 화재로 보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전에 주민 통보나 안전 점검 등을 철저하게 했지만, 실시간대 우발 상황에 대해 주민들이 이렇게 많이 놀라고 불안해한 점은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사과했다.

현무-2C는 2017년 6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모델로 기존 현무-2의 비행거리를 1천㎞로 늘린 사거리 연장형이다.

현재 군은 약 50여발 보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군은 2017년 9월 15일에도 북한의 IRBM 발사에 대응해 현무-2A로 사격에 나섰는데 당시 발사한 2발 중 1발이 발사 수 초 만에 바다로 추락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