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정상 25분간 통화…"北 도발엔 대가 따를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통령실 "격의없이 수시 소통"
기시다 "안보협력 중요성 확인"
기시다 "안보협력 중요성 확인"
윤석열 대통령이 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하고,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용산 대통령실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오후 5시35분부터 6시까지 기시다 총리와 최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행위라며 강력히 규탄했다. 또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중단돼야 하며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한·미·일 3자 간 안보협력은 물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굳건히 연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지난달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정상회담 이후 양국 관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은 한·일 양국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있어 협력해야 할 파트너라는 데 공감했다”며 “안보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수시로 격의 없이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저녁 통화 후 총리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일 동맹 억지력과 대처력의 중요성, 한·미·일 안보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며 “한·일 관계의 다양한 과제에 대해 매우 짧은 대화를 했다”고 말했다.
이날 통화는 일본 측 요청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시다 총리는 전날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통화 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안보 분야는 국민의 생명 및 생활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긴밀한 의사소통을 도모해 가고 싶다”며 한국과의 안보협력 의지를 밝혔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간 지난 뉴욕 회동을 대통령실은 ‘회담’, 일본 정부는 ‘간담’으로 표현한 것과 달리 이날 한국 측은 ‘전화 통화’로, 일본 측은 ‘전화 회담’으로 소개했다.
양국 발표 내용에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재활성화와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용산 대통령실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오후 5시35분부터 6시까지 기시다 총리와 최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행위라며 강력히 규탄했다. 또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중단돼야 하며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한·미·일 3자 간 안보협력은 물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굳건히 연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지난달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정상회담 이후 양국 관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은 한·일 양국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있어 협력해야 할 파트너라는 데 공감했다”며 “안보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수시로 격의 없이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저녁 통화 후 총리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일 동맹 억지력과 대처력의 중요성, 한·미·일 안보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며 “한·일 관계의 다양한 과제에 대해 매우 짧은 대화를 했다”고 말했다.
이날 통화는 일본 측 요청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시다 총리는 전날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통화 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안보 분야는 국민의 생명 및 생활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긴밀한 의사소통을 도모해 가고 싶다”며 한국과의 안보협력 의지를 밝혔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간 지난 뉴욕 회동을 대통령실은 ‘회담’, 일본 정부는 ‘간담’으로 표현한 것과 달리 이날 한국 측은 ‘전화 통화’로, 일본 측은 ‘전화 회담’으로 소개했다.
양국 발표 내용에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재활성화와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