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억→12억' 이 가격 실화?…'수원의 강남' 광교도 와르르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용성' 이끌던 수원 집값 고공낙하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10월 첫째 주 수원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 주보다 0.32% 떨어졌습니다. 올 1월부터 빠짐없이 매주 아파트 값이 하락세를 띠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영통구의 집 값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올 10월 첫째 주엔 전주보다 0.71% 하락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수원 영통구의 아파트 값은 매주 낙폭을 키워가고 있는 실정이랍니다.
하지만 갈수록 금리 인상이 가팔라지고, 대출이자 부담이 크게 불어난 데다 부동산 시장이 하향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확산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진 것입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수원 영통구 원천동에 있는 광교중흥에스클래스(전용면적 84㎡ 기준)는 올 9월 말 12억원(2층)에 매매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지난해 11월 말만 해도 18억원(17층)에 거래가 이뤄진 적이 있는 단지입니다. 불과 11개월 만에 6억원이 급락한 셈입니다.
!['18억→12억' 이 가격 실화?…'수원의 강남' 광교도 와르르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380243.1.jpg)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개인적인 여러 사정으로 시세보다 크게 하락한 사례들이 눈에 띄고 있다"면서도 "지난해까지 2~3년 동안 집 값이 크게 뛰었다 보니 아무래도 금리 인상 국면에서 투심이 위축되자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원 권선구 금곡동과 호매실동에 조성된 호매실지구도 이런 집 값 역풍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입니다. 신분당선 연장 호재가 있는데도 수억원씩 집 값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수원 권선구 금곡동에 있는 호반베르디움더센트럴(전용면적 84㎡ 기준)은 지난달 초에 5억7000만원(2층)에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올 3월 말엔 8억5000만원(2층), 지난해 8월 초엔 최고 9억원(18층)까지 거래가 이뤄졌던 단지입니다. 1년 가량 새 3억3000만원이 떨어진 셈입니다.
아실은 수원의 적정 연간 아파트 공급 물량이 5941가구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2021년 수원의 아파트 공급 물량은 1만233가구였고, 올해는1만813가구입니다. 오는 2023년에도 9357가구가 예정돼 있습니다. 적정 연간 공급 물량을 크게 웃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다 보니 전세 가격도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10월 첫째 주 수원 아파트 전세 가격은 전주보다 0.39% 떨어졌습니다. 전주 대비 하락 폭은 장안구가 -0.19%, 권선구가 -0.22%, 팔당구가 -0.14%, 영통구가 -0.71%를 나타냈습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