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中에 다 뺏긴다" 초비상…K조선·원전, 인력난에 '몸살'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술직 1.4만명 증발"
"핵심인력 부당하게 빼갔다"
조선사, 현대重에 공정위 제소
인력쟁탈전 벌인 조선업계
LNG선 기술직 대거 이탈
원전인력도 2000명 증발
"핵심인력 부당하게 빼갔다"
조선사, 현대重에 공정위 제소
인력쟁탈전 벌인 조선업계
LNG선 기술직 대거 이탈
원전인력도 2000명 증발

한국조선해양은 공개채용 절차를 거쳐 인력을 뽑았다고 해명했지만 양측의 설전은 격화되고 있다. 조선업계 전문인력 ‘품귀’ 현상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조선업계는 물론 원자력발전 업계에서도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다. “두 번째 르네상스를 맞은 K원전이 인력난에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도 번지고 있다.
조선 기술자 '3분의 1' 감소
11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술직 근로자는 7479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보다 1.3%(99명) 줄었다. 시점을 넓혀보면 기술직 근로자들의 감소 폭은 두드러진다. 2013년 2만3095명에 달했지만 2017년 8669명으로 1만명 선을 밑돈 데 이어 꾸준히 감소했다.기술직이 큰 폭 증발한 것은 조선업계 불황이 장기간 이어진 것과 맞물린다. 2016년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각각 1472억원, 1조530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이후 조선업계 부진이 이어졌다. 실적이 나빠지면서 조선업계를 등지는 인력이 늘었다.
하지만 최근 LNG 운반선과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LNG-FSRU), 부유식 원유 해상 생산설비(FPSO),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하역 설비(FPSO) 등을 중심으로 값비싼 선박들의 수주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하지만 LNG를 설계하고 연구·개발할 만한 기술직이 급격히 줄면서 조선업계는 쟁탈전까지 벌이고 있다. 정부는 뒤늦게 설계·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을 핵심으로 하는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짜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중국 국유기업 중국선박공업그룹(CSSC)이 LNG선 30척을 수주할 만한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한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있다”며 “관련 기술직 등의 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원전 인력 2000명 증발
조선업계는 물론 원전 업계도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원전 생태계가 붕괴됐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원자력산업실태조사를 보면 원자력산업 분야 총 매출액은 2016년 27조4513억원에서 2020년 22조2436억원으로 5조원 넘게 증발했다. 원자력산업체 인력 역시 같은 기간 3만7232명에서 3만5276명으로 2000명 가량 줄었다.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기업들도 늘어났다. 지난 7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원전업체 3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인력 부족(35.7%)을 경영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한 회사는 “최근 경력직원의 퇴사와 이직이 이어지고 있다”며 “관련 학과 축소 등으로 신입사원 충원도 어려워 상시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