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이창양의 '기수 파괴' 인사실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재부·산업부 국·과장 발탁때
행시 기수 건너뛴 파격 잇따라
"능력이 우선"…인사적체 해소도
행시 기수 건너뛴 파격 잇따라
"능력이 우선"…인사적체 해소도
정부 부처에서 ‘기수 파괴’ 인사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인사 적체가 심한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기수 문화를 뒤집은 인사가 두드러진다.
11일 관가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 7일 행정고시 49회 출신 3명을 본부 보직과장에 임명했다. 기재부 과장 대다수가 행시 43~47회 출신이고, 48회 중에서도 아직 과장직을 맡지 못한 사람이 다수인 것을 감안하면 예상 밖 인사라는 게 중론이다.
정규삼 신임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장은 전임(45회)과 비교하면 네 기수 차이다. 정책기획과장은 경제정책국 내 핵심 보직 중 하나라 초임 과장이 맡은 전례가 거의 없다. 같은 기수의 허수진 탄소중립전략팀장과 이희곤 외환분석팀장은 각각 청년정책과장, 인구경제과장으로 발령 났다.
기수 파괴 인사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추 부총리는 취임 직후 “기수대로 승진시키다가 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못한다”며 “기수보다 능력을 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서 기재부 국장급 인사에서는 39회 출신인 윤인대 전 정책기획관이 선임 국장 격인 경제정책국장에 발탁됐다. 전임인 김병환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37회) 다음 기수인 38회를 건너뛴 인사였다. 조용범 대변인과 황순관 복지안전예산심의관도 39회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38회보다 39회가 더 잘나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선배들을 제친 40회 국장(조만희 세제실 재산소비세정책관)도 최근 탄생했다.
산업부에서는 최근 행시 50회 과장(송용식 혁신행정담당관)이 발탁됐다. 48회와 49회 중에서 산업부 보직과장은 여섯 명 중 한 명꼴에 불과하다. 원전산업정책국 총괄과장(문상민 원전산업정책과장)은 행시 46회인데, 이 국에는 44회 등 선배 과장도 있다. 보통 각국의 최고 고참 과장이 총괄과장을 맡고 있는 관례를 뒤집은 것이다. 이창양 장관이 취임하면서 기수 파괴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관가 일각에서는 기재부와 산업부가 워낙 인사 적체가 심하다 보니 기수 파괴 인사가 더욱 절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도병욱/이지훈 기자 dodo@hankyung.com
11일 관가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 7일 행정고시 49회 출신 3명을 본부 보직과장에 임명했다. 기재부 과장 대다수가 행시 43~47회 출신이고, 48회 중에서도 아직 과장직을 맡지 못한 사람이 다수인 것을 감안하면 예상 밖 인사라는 게 중론이다.
정규삼 신임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장은 전임(45회)과 비교하면 네 기수 차이다. 정책기획과장은 경제정책국 내 핵심 보직 중 하나라 초임 과장이 맡은 전례가 거의 없다. 같은 기수의 허수진 탄소중립전략팀장과 이희곤 외환분석팀장은 각각 청년정책과장, 인구경제과장으로 발령 났다.
기수 파괴 인사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추 부총리는 취임 직후 “기수대로 승진시키다가 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못한다”며 “기수보다 능력을 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서 기재부 국장급 인사에서는 39회 출신인 윤인대 전 정책기획관이 선임 국장 격인 경제정책국장에 발탁됐다. 전임인 김병환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37회) 다음 기수인 38회를 건너뛴 인사였다. 조용범 대변인과 황순관 복지안전예산심의관도 39회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38회보다 39회가 더 잘나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선배들을 제친 40회 국장(조만희 세제실 재산소비세정책관)도 최근 탄생했다.
산업부에서는 최근 행시 50회 과장(송용식 혁신행정담당관)이 발탁됐다. 48회와 49회 중에서 산업부 보직과장은 여섯 명 중 한 명꼴에 불과하다. 원전산업정책국 총괄과장(문상민 원전산업정책과장)은 행시 46회인데, 이 국에는 44회 등 선배 과장도 있다. 보통 각국의 최고 고참 과장이 총괄과장을 맡고 있는 관례를 뒤집은 것이다. 이창양 장관이 취임하면서 기수 파괴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관가 일각에서는 기재부와 산업부가 워낙 인사 적체가 심하다 보니 기수 파괴 인사가 더욱 절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도병욱/이지훈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