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나면 오르는 대출금리에 주택담보대출을 준비하는 소비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자를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당장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 대출을 택하고 싶지만, 앞으로 더 오를지 모르는 기준금리를 생각하면 고정금리 대출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 같아서다.

고정금리는 첫 5년 동안 대출 실행 시 금리로 고정되고, 그 이후부터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이다. 반면 변동금리는 대출기간 동안 6개월~1년 주기로 기준금리 변동에 맞춰 대출 금리가 계속 바뀐다. 어떤 기준금리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변동 주기가 돌아올 때마다 나의 대출금리 변동 폭이 달라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낮다. 은행이 소비자가 감당해야 할 시장금리 변동의 위험을 없애주는 대신 금리를 더 높게 설정하기 때문이다. 10일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4.36~6.78%, 고정금리는 연 5.04~6.98%다.

보통의 경우 지금 같은 금리 상승기에는 당장 대출금리가 더 높아도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상식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간 지속된 이례적인 초저금리 국면이 이제 막을 내리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금리 상승세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올 들어 미국 중앙은행(Fed)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고 있는 점은 변수다. 내년 이후에는 지금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멈추거나 인하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하반기 이후 금리 상승세가 잦아들 것으로 예측한다면 변동금리를 택하는 게 나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한 은행 관계자는 “현재는 대부분 은행이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바꿀 경우 중도상환 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있기 때문에 대환이 용이한 편”이라며 “금리 인상이 중단될 가능성에 베팅한다면 일단 변동금리를 선택하고 상황을 지켜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간 차이가 1%포인트 이내라면 고정금리를 추천하는 편”이라면서도 “대출을 얼마나 유지할지, 실제 금리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충분한 상담을 거친 후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