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용단 '무용극 호동'…"전쟁광기에 무너지는 호동 왕자 비극 그렸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프리뷰 - 국립무용단 창단 60주년 기념작 '무용극 호동'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호동 설화
뮤지컬 연출가 이지나 첫 무용극
낙랑공주와의 사랑 서사 벗어나
집단 광기와 대립하는 개인 초점
27~29일 국립극장 해오름
정소연·송지영·송설 공동안무
44명의 무용수 모두가 '호동'
"미래 무용극의 주춧돌 될 것"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호동 설화
뮤지컬 연출가 이지나 첫 무용극
낙랑공주와의 사랑 서사 벗어나
집단 광기와 대립하는 개인 초점
27~29일 국립극장 해오름
정소연·송지영·송설 공동안무
44명의 무용수 모두가 '호동'
"미래 무용극의 주춧돌 될 것"

강렬하고 역동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군무는 국립무용단이 지난 11일 시연회에서 보여준 ‘2022 무용극 호동’의 1장 ‘나’ 장면이다. 제작진에 따르면 ‘나’의 춤은 송범 초대 국립무용단장(1926~2007)이 호동 설화를 소재로 만든 무용극 ‘왕자 호동’(1974)과 ‘그 하늘 그 북소리’(1990)에 나오는 ‘청룡춤’을 오마주(작가를 존경하는 표시로 작품의 특정 장면을 인용하는 것)했다.
‘2022 무용극 호동’은 국립무용단이 올해로 창단 60주년을 맞아 제작한 신작이다. 오는 27~29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른다. 뮤지컬 ‘광화문 연가’ ‘서편제’ ‘잃어버린 얼굴 1895’ 등을 연출한 이지나가 대본·연출을, 국립무용단 단원들인 정소연 송지영 송설이 함께 안무를 맡았다.
작품은 삼국사기에 기록된 호동 설화를 현대적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고구려 대무신왕의 왕자 호동에 관한 이야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호동이 사랑에 빠진 낙랑공주에게 나라를 지키는 자명고를 찢게 해 고구려가 낙랑을 멸망시키지만 결국 공주는 죽음을 맞는 이야기와 대무신왕 왕비인 원비가 호동을 시기해 왕에게 참소하고 이를 비관한 호동이 자살하는 이야기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호동과 낙랑공주의 사랑에 중점을 둔 서사 위주의 이전 무용극과는 달리 장별로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호동의 내면을 드러내는 형태로 진행된다. 자명고도 낙랑국의 위험을 알리는 북의 모습이 아니라 호동에게 감정의 위태로움을 경고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출된다.
부족한 서사는 대무신왕 역을 맡은 배우 지현준의 내레이션과 자막 등을 통해 보완한다. 이지나는 “한국 무용은 움직임이 추상적인 현대무용과 비슷해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다”며 “춤으로 상징적인 메시지를 드러내고, 대사와 자막, 음악을 합쳐 이야기를 전달하겠다”고 설명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