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美 "IRA 해결책 찾자"…현대차·K배터리 5개사 찾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기업들 "2년 유예" 요청
美실무진, 투자 애로사항 청취
美실무진, 투자 애로사항 청취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방문해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기업 다섯 곳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을 만났다. 북미에서 생산된 전기차 및 북미산 배터리 광물·부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 규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 실무자 두 명은 지난 12일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롯데케미칼 포스코케미칼 등의 임원진과 1시간씩 면담했다. 13일엔 삼성SDI SK온 본사를 찾아가 담당임원들을 만났다.
미 에너지부는 IRA와 관련, 투자 애로사항과 세부 지침에 반영해야 할 조항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에너지부가 방한한 핵심 목적은 현대차와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현대차가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전기차 전용공장은 2025년 완공 예정이어서 2년 넘게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그때까지 경쟁사보다 7500달러(약 1000만원) 더 비싸게 팔아야 해 큰 타격이 예상된다. 현대차는 미 에너지부에 이런 상황을 전달하고 IRA 적용 유예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IRA 해법의 열쇠를 쥐고 있다. 이들 기업의 배터리 공급 여건에 따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IRA에 따라 완성차업체들은 내년부터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조달한 광물을 40% 이상 적용한 배터리를 장착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이 비중은 매년 10%포인트 높아져 2027년엔 70%로 늘어난다. 배터리 부품은 내년부터 북미산을 50% 이상 써야 한다. 2029년엔 100%로 높아진다.
지금은 중국이 글로벌 배터리 광물·부품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어 단기간에 대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배터리 광물은 가공 단계가 복잡해 어느 국가가 원산지인지 규정하기 어렵다. 가령 호주에서 채굴한 리튬 원광을 중국 업체가 제련해 한국 기업이 양극재로 제조하면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이 명확하지 않다. 미 재무부는 이런 내용을 구체화한 시행령을 마련해 이르면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김형규/강경민/이지훈 기자 khk@hankyung.com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 실무자 두 명은 지난 12일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롯데케미칼 포스코케미칼 등의 임원진과 1시간씩 면담했다. 13일엔 삼성SDI SK온 본사를 찾아가 담당임원들을 만났다.
미 에너지부는 IRA와 관련, 투자 애로사항과 세부 지침에 반영해야 할 조항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에너지부가 방한한 핵심 목적은 현대차와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현대차가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전기차 전용공장은 2025년 완공 예정이어서 2년 넘게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그때까지 경쟁사보다 7500달러(약 1000만원) 더 비싸게 팔아야 해 큰 타격이 예상된다. 현대차는 미 에너지부에 이런 상황을 전달하고 IRA 적용 유예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IRA 해법의 열쇠를 쥐고 있다. 이들 기업의 배터리 공급 여건에 따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IRA에 따라 완성차업체들은 내년부터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조달한 광물을 40% 이상 적용한 배터리를 장착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이 비중은 매년 10%포인트 높아져 2027년엔 70%로 늘어난다. 배터리 부품은 내년부터 북미산을 50% 이상 써야 한다. 2029년엔 100%로 높아진다.
지금은 중국이 글로벌 배터리 광물·부품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어 단기간에 대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배터리 광물은 가공 단계가 복잡해 어느 국가가 원산지인지 규정하기 어렵다. 가령 호주에서 채굴한 리튬 원광을 중국 업체가 제련해 한국 기업이 양극재로 제조하면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이 명확하지 않다. 미 재무부는 이런 내용을 구체화한 시행령을 마련해 이르면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김형규/강경민/이지훈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