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기 신축아파트 거품 먼저 꺼진다…매매·전세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년 이하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10개월 연속 내림세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신축아파트의 거품이 가장 빠른 속도로 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연령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전국 5년 이하(사용승인 시점 기준)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35% 떨어진 99.7을 기록하며 기준선인 100 밑으로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021년 6월 넷째 주를 기준으로 한다.
지수가 100을 밑돌면 아파트 매매가가 지난해 6월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가 100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해 6월 셋째 주 이후 처음이다.
신축아파트 가격은 작년 12월 셋째 주 하락 전환한 뒤 10개월 가까이 계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도 이달 둘째 주 99.8(-0.45%)로 떨어지며 100선이 무너졌다.
금리 인상 시기와 맞물려 주택시장 전반에서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신축아파트는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구축보다 하락세가 가파르다.
하락 전환 직전인 작년 12월 첫째 주와 올해 10월 둘째 주 지수를 비교하면, 신축아파트는 104.7에서 99.7로 내림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5년 초과∼10년 이하 준신축 아파트는 104.7에서 101.8로 떨어지는 데 그쳤고, 10년 초과∼15년 이하(105.8→103.8), 15년 초과∼20년 이하(106.4→104.7), 20년 초과(106.6→106.2) 등 구축일수록 변동 폭이 작았다. 전세시장도 다르지 않다.
전국 5년 이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0월 둘째 주 98.4로 아파트 연령별 지수에서 유일하게 100 밑에 형성됐다.
신축 아파트 전세가도 매매가와 마찬가지로 작년 12월 셋째 주 이후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세가 변동 폭도 신축 아파트가 가장 크다.
전국 5년 이하 아파트 기준 작년 12월 첫째 주 103.8이었던 지수는 10월 둘째 주 98.4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5년 초과∼10년 이하 준신축 아파트(103.5→100.1), 10년 초과∼15년 이하(104.1→102.1), 15년 초과∼20년 이하(104.4→103.1), 20년 초과(104.5→104.4) 등에 비하면 신축아파트 전세가가 가장 큰 폭 떨어진 것이다.
이런 추세는 서울도 마찬가지였다.
부동산R114가 올해 1월부터 이달 14일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아파트 매매가는 0.03% 올랐지만, 입주 1∼5년 차 신축아파트만 1.23%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입주 6∼10년 차 준신축과 입주 10년 초과 구축은 각각 0.35%, 0.1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평균 0.90% 떨어졌다.
준신축과 구축 아파트가 각각 0.82%, 0.80% 하락하는 데 그쳤지만, 신축아파트는 1.79% 떨어져 하락률이 평균의 2배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신규 물량이 부족하던 시기 신축아파트 매매·전세가가 구축에 비해 크게 오른 상황에서 금리 인상과 주택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신축의 거품이 더 빠르게 꺼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재개발·재건축이 제한적이었던 2017년 초반 서울 신축아파트는 가격 오름세가 상대적으로 컸기에 하락기에는 가장 먼저 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전세가도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세입자를 구하기 위해 집주인들이 가격을 내리고, 세입자는 대출 이자 부담 때문에 월세로 눈을 돌리거나 신축보다는 구축이나 빌라 등 다른 주택 유형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불황기에는 주택에 대해서도 과소비보다는 실속 소비를 택하면서 신축 프리미엄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고금리 국면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으면서까지 신축 아파트를 택할 메리트가 없어지다 보니 신축 아파트 매매·전셋값이 하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16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연령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전국 5년 이하(사용승인 시점 기준)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35% 떨어진 99.7을 기록하며 기준선인 100 밑으로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021년 6월 넷째 주를 기준으로 한다.
지수가 100을 밑돌면 아파트 매매가가 지난해 6월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가 100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해 6월 셋째 주 이후 처음이다.
신축아파트 가격은 작년 12월 셋째 주 하락 전환한 뒤 10개월 가까이 계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도 이달 둘째 주 99.8(-0.45%)로 떨어지며 100선이 무너졌다.
금리 인상 시기와 맞물려 주택시장 전반에서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신축아파트는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구축보다 하락세가 가파르다.
하락 전환 직전인 작년 12월 첫째 주와 올해 10월 둘째 주 지수를 비교하면, 신축아파트는 104.7에서 99.7로 내림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5년 초과∼10년 이하 준신축 아파트는 104.7에서 101.8로 떨어지는 데 그쳤고, 10년 초과∼15년 이하(105.8→103.8), 15년 초과∼20년 이하(106.4→104.7), 20년 초과(106.6→106.2) 등 구축일수록 변동 폭이 작았다. 전세시장도 다르지 않다.
전국 5년 이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0월 둘째 주 98.4로 아파트 연령별 지수에서 유일하게 100 밑에 형성됐다.
신축 아파트 전세가도 매매가와 마찬가지로 작년 12월 셋째 주 이후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세가 변동 폭도 신축 아파트가 가장 크다.
전국 5년 이하 아파트 기준 작년 12월 첫째 주 103.8이었던 지수는 10월 둘째 주 98.4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5년 초과∼10년 이하 준신축 아파트(103.5→100.1), 10년 초과∼15년 이하(104.1→102.1), 15년 초과∼20년 이하(104.4→103.1), 20년 초과(104.5→104.4) 등에 비하면 신축아파트 전세가가 가장 큰 폭 떨어진 것이다.
이런 추세는 서울도 마찬가지였다.
부동산R114가 올해 1월부터 이달 14일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아파트 매매가는 0.03% 올랐지만, 입주 1∼5년 차 신축아파트만 1.23%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입주 6∼10년 차 준신축과 입주 10년 초과 구축은 각각 0.35%, 0.1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평균 0.90% 떨어졌다.
준신축과 구축 아파트가 각각 0.82%, 0.80% 하락하는 데 그쳤지만, 신축아파트는 1.79% 떨어져 하락률이 평균의 2배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신규 물량이 부족하던 시기 신축아파트 매매·전세가가 구축에 비해 크게 오른 상황에서 금리 인상과 주택시장 침체가 겹치면서 신축의 거품이 더 빠르게 꺼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재개발·재건축이 제한적이었던 2017년 초반 서울 신축아파트는 가격 오름세가 상대적으로 컸기에 하락기에는 가장 먼저 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전세가도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세입자를 구하기 위해 집주인들이 가격을 내리고, 세입자는 대출 이자 부담 때문에 월세로 눈을 돌리거나 신축보다는 구축이나 빌라 등 다른 주택 유형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불황기에는 주택에 대해서도 과소비보다는 실속 소비를 택하면서 신축 프리미엄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고금리 국면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으면서까지 신축 아파트를 택할 메리트가 없어지다 보니 신축 아파트 매매·전셋값이 하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