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이기호. 마음산책 제공
소설가 이기호. 마음산책 제공
"내 소설의 부족한 부분을 돌아보게 만든 책이에요."

지난달 소설집 <눈감지 마라>를 낸 소설가 이기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쇳밥일지>를 최근 인상 깊게 읽은 책으로 꼽으며 이 같이 말했다.
<눈감지 마라>는 지방 사립대를 졸업한 두 친구 '정용'과 '진만'을 중심으로 지방 청년의 삶을 그려냈다. 일간지에 연재했던 짧은 소설 49편을 묶었다. 각기 읽어도 여운을 즐길 수 있는데, 책을 죽 읽어가다 보면 두 청년을 주인공으로 한 장편소설 같다.

'지방 청년 용접 노동자' 천현우가 쓴 <쇳밥일지>는 <눈감지 마라>와 비슷한 듯 다르다. 일단, 소설이 아니라 저자의 경험을 쓴 에세이다. 인문계 졸업생인 '정용'과 '진만'과 달리 천 작가는 '쇳밥'을 먹는 노동자다.

천 작가는 책 도입부에 이렇게 적었다. "청년공으로서 살아가기란 생각보다는 힘들되 꾸역꾸역 생존은 가능한 나날이었다. 그때의 시간들. 고와 낙이 있었고, 땀과 눈물이 있었으며, 희망과 좌절이 공존했고, 꿈이 짓이겨졌다가 다시금 피어났던 과거를 문자로 남겨보고자 한다."
이 작가는 “지방, 공장, 기술직의 세계는 제가 쓴 소설 속 청년들의 현실과는 또 다른 세계라 인상 깊게 읽었다"며 "오늘날 청년들이 처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생생하게 담아낸 글이라 놀라웠고, 동시에 제 소설이 부족하게 느껴져 부끄러웠다”고 했다.

겸양 섞인 이 작가의 고백과 달리, <눈감지 마라>는 지방 청년들의 '웃픈(웃기면서도 슬픈)' 현실을 따뜻하게, 또 서늘하게 포착한 작품이라는 평을 받는다.

이 작가 특유의 익살과 풍자는 소소한 웃음, 그리고 길고 쓴 뒷맛을 남긴다. 월세만 받던 고시원에서 보증금 500만원을 요구하자 막막한 마음을 소설은 이렇게 묘사한다. “남들은 몇 억원씩 되는 아파트를 영혼까지 끌어 마련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진만의 영혼은 과연 어떤 영혼인가? 무슨 다이소 같은 영혼인가?”

강원도 원주 출신 이 작가는 광주대 문예창작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한때 지방 청년이었고, 지금도 지방 청년들과 호흡한다. 이 작가는 "제자들이 들려준 이야기가 소설에 많이 녹아있다"며 "제자들에게 안부를 묻는 마음으로 소설을 써나갔다"고 말했다.

"소설을 다 쓰고 나서도 '정용'과 '진만' 두 친구들이 자꾸 생각나서 가슴이 아파요. ‘내가 과연 지방 청년들의 마음을 얼마나 정확하게 보여줄 수 있나’ 고민했지만, 결국 책을 낸 건 지방 청년들의 삶을 이야기해야 우리가 함께 나아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에요. 책의 제목은 중의적 의미를 담았어요. 어른들을 향해서는 ‘이 청년들도 우리의 현실이니까, 눈감지 마라’고, 청년들을 향해서는 ‘부디 살아남으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