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측근' 김용 체포에 작년 10월 '3차 경선' 회자된 까닭 [오형주의 정읽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검찰, ‘이재명 측근’ 김용 체포
“대장동 일당에게 20억 중 8억만 받아
작년 9월 수사 안했으면 다 받았을 것”
야권에선 ‘3차 선거인단 투표’ 주목
당시 이낙연 62% 얻는 ‘이변’
대장동 이슈 영향 놓고 해석 분분
“대장동 일당에게 20억 중 8억만 받아
작년 9월 수사 안했으면 다 받았을 것”
야권에선 ‘3차 선거인단 투표’ 주목
당시 이낙연 62% 얻는 ‘이변’
대장동 이슈 영향 놓고 해석 분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19일 검찰에 의해 전격 체포되면서 정치권 내부에서는 여러 뒷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언론보도를 종합하면 검찰은 김 부원장이 작년 4월부터 8월까지 대장동 비리 핵심 의혹인 남욱 변호사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 등에게 20억원을 요구한 뒤 8억원을 받은 것으로 판단한 것 같습니다.
작년 9월부터 대장동 의혹을 둘러싼 검찰 수사가 시작되지 않았다면 나머지 돈(12억원)도 모두 받았을 것으로 의심한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그러자 한 야권 인사는 “이와 관련해 1년 전인 작년 10월 민주당의 3차 국민경선 결과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는 말을 했습니다. 당시 무슨 일이 벌어졌길래 이런 말이 나왔을까요.
잠시 시계를 지난해 10월 10일로 되돌려보겠습니다. 이날 민주당은 서울 방이동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20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3차 일반당원·국민 선거인단 투표와 서울지역 순회경선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대표가 민주당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된 날이었습니다. 이 대표는 11차례 지역 순회경선과 세 차례 일반당원·국민 선거인단 투표에서 누적득표율 50.29%를 기록해, 경쟁자였던 이낙연 전 국무총리(39.14%)와의 격차를 10%포인트 넘게 벌리며 본선행 티켓을 거머줬죠.
그런데 이날 투표 결과에는 실은 큰 이변이 있었습니다. 당시 민주당의 대선 경선은 대의원 및 권리당원들이 참여하는 지역 순회경선과 국민·일반당원으로 구성된 선거인단 득표 수를 모두 합산해 과반인 50% 이상 득표한 후보를 최종 후보로 확정하는 방식으로 치러졌습니다.
특히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투표는 3차례 진행해 매번 결과를 지역경선 결과와 한꺼번에 발표하는 이른바 ‘슈퍼위크’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8월 4일 대전·충남을 시작으로 진행된 지역 순회경선에서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굳힌 이재명 대표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대표는 11개 지역 중 이낙연 전 총리의 근거지인 광주·전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 50% 이상을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투표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이 대표는 1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가 나온 9월 12일 슈퍼위크에서 51.09%, 10월 3일 2차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58.17%를 얻어 지역경선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 전 총리를 압도했습니다.
그런데 서울과 경기 지역 경선 과 함께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가 발표된 10월 10일엔 양상이 사뭇 달랐습니다. 24만8880명이 참여한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 전 총리가 무려 62.37%를 얻어 28.30%에 그친 이 대표를 ‘더블스코어’ 이상 격차로 누른 겁니다. 그 결과 한때 20%포인트 넘게 벌어진 두 후보 간 격차는 최종적으로 11.15%포인트까지 좁혀졌습니다.
야권에서는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두고 다양한 분석이 나왔습니다. 당시 상당수 전문가들은 경선 기간 중 불거진 이 대표의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봤습니다.
당시 9월 추석 연휴를 전후로 대장동 개발업체인 화천대유와 이 대표 관련 인물인 유동규 전 본부장 간 연루 의혹이 연달아 터져나오면서 악화된 여론이 표심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여기에 김용 부원장을 겨냥한 검찰 수사 상황을 덧붙인 해석도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한 관계자는 “당초 대선자금으로 20억을 받기로 했는데 8억만 받았으면 나머지 12억은 ‘빵꾸’가 난 것 아니냐”며 “이런 자금사정이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장동 의혹과 관련해 이 대표 주변 인물들에 대한 검찰 수사는 9월 말부터 본격화됐습니다. 9월 29일 검찰은 유 전 본부장 등 관계인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습니다. 10월 3일엔 유 전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됐고, 7일에는 유 전 본부장이 압수수색 당시 ‘창밖으로 던졌다’고 알려진 휴대전화를 경찰이 찾아냈죠.
물론 여기에는 반론도 있습니다. 우선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9월 내내 이 대표의 지역경선 및 선거인단 득표율은 50%를 상회하며 큰 변동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더욱이 10월 10일 3차 슈퍼위크와 같은 날 발표된 서울 및 경기지역 경선에서도 이 대표는 각각 50% 이상 득표하며 대세론을 이어갔습니다. 적어도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 외 다른 모든 투표에서는 대장동 이슈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입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지금까지 언론보도를 종합하면 검찰은 김 부원장이 작년 4월부터 8월까지 대장동 비리 핵심 의혹인 남욱 변호사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 등에게 20억원을 요구한 뒤 8억원을 받은 것으로 판단한 것 같습니다.
작년 9월부터 대장동 의혹을 둘러싼 검찰 수사가 시작되지 않았다면 나머지 돈(12억원)도 모두 받았을 것으로 의심한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그러자 한 야권 인사는 “이와 관련해 1년 전인 작년 10월 민주당의 3차 국민경선 결과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는 말을 했습니다. 당시 무슨 일이 벌어졌길래 이런 말이 나왔을까요.
잠시 시계를 지난해 10월 10일로 되돌려보겠습니다. 이날 민주당은 서울 방이동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20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3차 일반당원·국민 선거인단 투표와 서울지역 순회경선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대표가 민주당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된 날이었습니다. 이 대표는 11차례 지역 순회경선과 세 차례 일반당원·국민 선거인단 투표에서 누적득표율 50.29%를 기록해, 경쟁자였던 이낙연 전 국무총리(39.14%)와의 격차를 10%포인트 넘게 벌리며 본선행 티켓을 거머줬죠.
그런데 이날 투표 결과에는 실은 큰 이변이 있었습니다. 당시 민주당의 대선 경선은 대의원 및 권리당원들이 참여하는 지역 순회경선과 국민·일반당원으로 구성된 선거인단 득표 수를 모두 합산해 과반인 50% 이상 득표한 후보를 최종 후보로 확정하는 방식으로 치러졌습니다.
특히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투표는 3차례 진행해 매번 결과를 지역경선 결과와 한꺼번에 발표하는 이른바 ‘슈퍼위크’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8월 4일 대전·충남을 시작으로 진행된 지역 순회경선에서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굳힌 이재명 대표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대표는 11개 지역 중 이낙연 전 총리의 근거지인 광주·전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 50% 이상을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투표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이 대표는 1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가 나온 9월 12일 슈퍼위크에서 51.09%, 10월 3일 2차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58.17%를 얻어 지역경선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 전 총리를 압도했습니다.
그런데 서울과 경기 지역 경선 과 함께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가 발표된 10월 10일엔 양상이 사뭇 달랐습니다. 24만8880명이 참여한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 전 총리가 무려 62.37%를 얻어 28.30%에 그친 이 대표를 ‘더블스코어’ 이상 격차로 누른 겁니다. 그 결과 한때 20%포인트 넘게 벌어진 두 후보 간 격차는 최종적으로 11.15%포인트까지 좁혀졌습니다.
야권에서는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두고 다양한 분석이 나왔습니다. 당시 상당수 전문가들은 경선 기간 중 불거진 이 대표의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봤습니다.
당시 9월 추석 연휴를 전후로 대장동 개발업체인 화천대유와 이 대표 관련 인물인 유동규 전 본부장 간 연루 의혹이 연달아 터져나오면서 악화된 여론이 표심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여기에 김용 부원장을 겨냥한 검찰 수사 상황을 덧붙인 해석도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한 관계자는 “당초 대선자금으로 20억을 받기로 했는데 8억만 받았으면 나머지 12억은 ‘빵꾸’가 난 것 아니냐”며 “이런 자금사정이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장동 의혹과 관련해 이 대표 주변 인물들에 대한 검찰 수사는 9월 말부터 본격화됐습니다. 9월 29일 검찰은 유 전 본부장 등 관계인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습니다. 10월 3일엔 유 전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됐고, 7일에는 유 전 본부장이 압수수색 당시 ‘창밖으로 던졌다’고 알려진 휴대전화를 경찰이 찾아냈죠.
물론 여기에는 반론도 있습니다. 우선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9월 내내 이 대표의 지역경선 및 선거인단 득표율은 50%를 상회하며 큰 변동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더욱이 10월 10일 3차 슈퍼위크와 같은 날 발표된 서울 및 경기지역 경선에서도 이 대표는 각각 50% 이상 득표하며 대세론을 이어갔습니다. 적어도 3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 외 다른 모든 투표에서는 대장동 이슈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입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