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형제'라던 김용·유동규…'검은 거래' 드러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용, 시의원 때 대장동 민관 합동개발 위한 공사 설립 앞장
金·정진상·유동규·김만배 '도원결의' 의혹…실체 확인은 검찰 몫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불법 대선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체포되면서 그동안 소문으로 돌던 이른바 대장동팀과의 '검은 거래'가 드러날지에 이목이 쏠린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 사업을 성공시켜 막대한 이익을 챙겨야 했던 대장동팀과 이 대표가 나섰던 시장, 도지사, 대통령 선거 자금이 필요했던 김 부원장 측의 요구가 맞물려 수년간 유착관계가 이어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부원장과 대장동팀의 연결고리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성남도개공) 기획본부장이다.
김 부원장은 2008년 분당 지역 리모델링 추진 연합회장으로 활동하며 유 전 본부장과 인연을 맺었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분당지역 한 아파트 단지의 리모델링추진위원회 조합장이었다.
두 사람은 이때부터 '의형제'처럼 지냈다고 한다.
당시 성남에서 변호사로 시민운동을 하던 이 대표를 알게 된 것도 그즈음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가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에 당선됐을 때 김 부원장은 성남시의회에 입성한다.
유 전 본부장은 2014년 성남시설관리공단(성남도개공의 전신) 기획본부장이 됐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들이 사업 성공과 경제적 이익 공유를 위해 각자의 지위를 적극 활용한 것으로 의심한다.
김 부원장은 2010년∼2018년까지 8년간 성남시의원을 지내면서 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의회의 도움이 필요할 때 중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 개발 사업 비리와 관련, 9월 유 전 본부장,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팀을 기소하면서 2011년 당시 이 시장이 대장동을 공영 개발하려 하자 대장동팀이 민관 합동 개발을 고안해 냈다고 공소장에 적었다.
대장동의 민간 개발에 공을 들였던 대장동팀이 기득권을 잃지 않으려고 '고육지책'인 민관 합동 개발로 방향을 틀었고, 이를 위해선 성남도개공 설립이 최우선 과제였다는 것이다.
김 부원장은 이 대목에서 등장한다.
성남도개공 설립 조례안이 시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대에 막혔을 때 안건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2013년 2월 28일 성남시의회 본회의가 열렸을 때 일부 의원이 조례안 의결을 보류하자고 하자 김 부원장은 이의를 제기하며 "계속 미뤄지면 안 되는 사안이니 올라온 대로 처리하자"고 강하게 요구했다.
당시 다수당이던 새누리당 의원들의 찬성표를 끌어내기 위해 무기명 전자투표를 하자고 제안한 이도 김 부원장이다.
김 부원장은 일부 의원이 무기명 투표를 반대하자 "개인의 소신을 정확하게 표출하기 위해선 무기명 투표가 바람직하다"고 밀어붙였다.
결국 김 부원장의 의견대로 무기명 전자투표가 이뤄졌으나 의결정족수가 미달해 거수투표로 안건을 통과시킨다.
김 부원장이 성남시의회를 담당했다면, 이 대표의 또 다른 최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은 당시 성남시 비서실의 실세로서 사업 관련 각종 인허가 통과에 힘을 쓴 것으로 검찰은 의심한다.
검찰이 지난해 성남시에서 확보한 '대장동·제1공단 결합 도시개발사업 용역비 환수계획 검토 보고', '출자 승인 검토 보고', '개발계획 변경 입안 보고' 등 여러 문건엔 정 실장이 협조자로 서명했다.
실제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대표에게 올라가는 중요 문서는 모두 정 실장을 거쳐 보고됐다고 한다.
이들에 더해 유 전 본부장은 성남도개공 실세로 불리며 민간업자들에게 유리하게 사업 구조를 설계해주고, 그 대가로 민간업자들은 유 전 본부장 등의 자금 지원 요구에 응했다는 게 검찰의 그림이다.
이들의 유착 의혹은 지난해 수사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은 지난해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김 부원장, 정 실장, 유 전 본부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의 실명을 거론하며 "이들이 '도원결의'를 맺고 펀드를 만들고 구조를 짰다"고 주장했다.
5월 대장동 재판에서는 이들 4명이 모여 의형제를 맺고, 김씨가 대장동 사업 추진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 실장에게 하자 정 실장이 '2015년 전반기에 다 정리해서 끝내겠다'고 했다는 관련자들(남욱 변호사·정영학 회계사)의 통화 녹음도 재생됐다.
김 부원장을 체포한 검찰로선 이들 4명이 이익과 돈을 주고받았다는 실체를 증거로 입증해야 하는 게 최우선 당면 과제가 됐다.
/연합뉴스
金·정진상·유동규·김만배 '도원결의' 의혹…실체 확인은 검찰 몫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불법 대선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체포되면서 그동안 소문으로 돌던 이른바 대장동팀과의 '검은 거래'가 드러날지에 이목이 쏠린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 사업을 성공시켜 막대한 이익을 챙겨야 했던 대장동팀과 이 대표가 나섰던 시장, 도지사, 대통령 선거 자금이 필요했던 김 부원장 측의 요구가 맞물려 수년간 유착관계가 이어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부원장과 대장동팀의 연결고리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성남도개공) 기획본부장이다.
김 부원장은 2008년 분당 지역 리모델링 추진 연합회장으로 활동하며 유 전 본부장과 인연을 맺었다.
유 전 본부장은 당시 분당지역 한 아파트 단지의 리모델링추진위원회 조합장이었다.
두 사람은 이때부터 '의형제'처럼 지냈다고 한다.
당시 성남에서 변호사로 시민운동을 하던 이 대표를 알게 된 것도 그즈음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가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에 당선됐을 때 김 부원장은 성남시의회에 입성한다.
유 전 본부장은 2014년 성남시설관리공단(성남도개공의 전신) 기획본부장이 됐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들이 사업 성공과 경제적 이익 공유를 위해 각자의 지위를 적극 활용한 것으로 의심한다.
김 부원장은 2010년∼2018년까지 8년간 성남시의원을 지내면서 대장동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의회의 도움이 필요할 때 중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 개발 사업 비리와 관련, 9월 유 전 본부장,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팀을 기소하면서 2011년 당시 이 시장이 대장동을 공영 개발하려 하자 대장동팀이 민관 합동 개발을 고안해 냈다고 공소장에 적었다.
대장동의 민간 개발에 공을 들였던 대장동팀이 기득권을 잃지 않으려고 '고육지책'인 민관 합동 개발로 방향을 틀었고, 이를 위해선 성남도개공 설립이 최우선 과제였다는 것이다.
김 부원장은 이 대목에서 등장한다.
성남도개공 설립 조례안이 시의회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대에 막혔을 때 안건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2013년 2월 28일 성남시의회 본회의가 열렸을 때 일부 의원이 조례안 의결을 보류하자고 하자 김 부원장은 이의를 제기하며 "계속 미뤄지면 안 되는 사안이니 올라온 대로 처리하자"고 강하게 요구했다.
당시 다수당이던 새누리당 의원들의 찬성표를 끌어내기 위해 무기명 전자투표를 하자고 제안한 이도 김 부원장이다.
김 부원장은 일부 의원이 무기명 투표를 반대하자 "개인의 소신을 정확하게 표출하기 위해선 무기명 투표가 바람직하다"고 밀어붙였다.
결국 김 부원장의 의견대로 무기명 전자투표가 이뤄졌으나 의결정족수가 미달해 거수투표로 안건을 통과시킨다.
김 부원장이 성남시의회를 담당했다면, 이 대표의 또 다른 최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은 당시 성남시 비서실의 실세로서 사업 관련 각종 인허가 통과에 힘을 쓴 것으로 검찰은 의심한다.
검찰이 지난해 성남시에서 확보한 '대장동·제1공단 결합 도시개발사업 용역비 환수계획 검토 보고', '출자 승인 검토 보고', '개발계획 변경 입안 보고' 등 여러 문건엔 정 실장이 협조자로 서명했다.
실제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대표에게 올라가는 중요 문서는 모두 정 실장을 거쳐 보고됐다고 한다.
이들에 더해 유 전 본부장은 성남도개공 실세로 불리며 민간업자들에게 유리하게 사업 구조를 설계해주고, 그 대가로 민간업자들은 유 전 본부장 등의 자금 지원 요구에 응했다는 게 검찰의 그림이다.
이들의 유착 의혹은 지난해 수사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은 지난해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김 부원장, 정 실장, 유 전 본부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의 실명을 거론하며 "이들이 '도원결의'를 맺고 펀드를 만들고 구조를 짰다"고 주장했다.
5월 대장동 재판에서는 이들 4명이 모여 의형제를 맺고, 김씨가 대장동 사업 추진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 실장에게 하자 정 실장이 '2015년 전반기에 다 정리해서 끝내겠다'고 했다는 관련자들(남욱 변호사·정영학 회계사)의 통화 녹음도 재생됐다.
김 부원장을 체포한 검찰로선 이들 4명이 이익과 돈을 주고받았다는 실체를 증거로 입증해야 하는 게 최우선 당면 과제가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