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고금리, 자산시장 냉각이라는 ‘3중 악재’가 가계를 위협하고 있다. 하나같이 집안 살림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요인이다. 그런데도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을 계기로 불붙은 소비는 좀처럼 꺼지지 않고 있다. ‘당연히 지갑이 닫힐 것’이라는 통념이 맞아들어가지 않자 ‘소비 최전선’ 유통업계에서도 그 배경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21일 ‘한경-비씨카드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서울 주요 8대 상권인 강남, 명동, 성수, 여의도, 을지로3가, 이태원, 잠실, 홍대의 카드 결제액은 거리두기가 풀린 지난 4월 넷째 주(18~24일)부터 매달 증가 폭이 커졌다. 이 일대 8개 지하철역 반경 1㎞ 이내에 있는 비씨카드 가맹점(음식·유흥업종) 결제액을 분석한 결과다.

4월 넷째 주 결제액을 100으로 놓고 집계한 결과 명동의 넷째 주 기준 결제액은 7월 102, 9월 108로 불어났다. 잠실과 홍대의 결제액은 각각 7월 100, 107에서 9월 111, 110으로 커졌다.

이 일대 소비 증가세는 20대가 이끌었다. 성수, 을지로, 이태원, 잠실, 홍대 5개 상권에서 지난달 20대 소비자의 결제액이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이달 들어서도 이런 흐름은 꺾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물 경기의 바로미터’로 통하는 백화점 가을 세일(지난달 30일~이달 16일) 기간에 롯데백화점 매출은 지난해 세일 때보다 25.0% 늘었다.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 매출도 각각 26.8%, 21.1% 불어났다.

전문가들은 소비 활성화를 불러일으킨 코로나19발(發) 사회 구조 변화와 엔데믹으로 살아난 소비심리가 이런 흐름을 견인하는 것으로 본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2020~2021년 정보기술(IT)업계를 중심으로 급등한 임금이 유지되는 가운데 아직 산업계에 큰 구조조정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며 “다만 서민이 많이 찾는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허리띠 졸라매기가 시작돼 지금과 같은 소비경기가 내년까지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관/이미경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