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 등 경제·금융 수장들이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들어가고 있다. 왼쪽부터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추 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 등 경제·금융 수장들이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들어가고 있다. 왼쪽부터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추 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뉴스
정부가 단기자금 시장과 회사채 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50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고강도 대책을 내놨다.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자 뒤늦게 시장 안정을 위해 자금을 대거 풀기로 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늦었지만 급한 불을 끌 수 있게 됐다고 안도감을 나타냈다.

뒤늦게 ‘50조원+α’ 유동성 공급 나서

유동성 위기 확산 막으려 '50조+α' 공급…시장 "최악은 피했다"
정부가 23일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발표한 시장 안정방안은 50조원+α 규모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당장 24일부터 채권시장안정펀드를 가동해 즉시 사용 가능한 1조6000억원을 집행하겠다”며 “시공사가 보증한 PF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을 매입하겠다”고 했다. 또 총 20조원 규모인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11월 초까지 83개 금융회사에 추가 자금 납입 요청(캐피털 콜)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 및 CP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 한도도 기존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PF 관련 ABCP 차환이 막혀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해질 수 있는 증권사를 위해 한국증권금융에서 3조원을 지원하는 등의 보완책도 마련했다. 부동산 PF 시장 안정화를 위해 우량 PF 사업장에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을 통해 내년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확실한 유동성 공급을 통해 이번 단기자금 시장 경색이 전반적인 금융시장 불안으로 확산하지 않게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건설사 “연말까지 여력 생겨”

시장에서는 이번 유동성 공급 대책으로 급한 불을 끌 수 있게 됐다며 안도감을 내비쳤다. 시장 불안의 핵심이 신용 경색이 아니라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인 만큼 CP 시장 중심으로 자금을 푸는 대책이 절실했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얘기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12조2000억원(6월 말 기준)에 이른다. 연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PF ABCP와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규모는 34조원 수준이다.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ABS 포함·CP 제외) 규모는 약 13조9200억원이다. 한 증권사 PF 담당자는 “만기 도래하는 사채 규모를 봤을 때 이번 유동성 지원책으로 최소 연말까지는 버틸 여력이 생길 것”이라며 “정부가 시장 혼란을 두고 보지 않겠다는 확실한 신호를 줬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건설사들도 흑자부도나 PF 사업 좌초 등 최악의 위기는 넘길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한 건설사 자금담당 임원은 “우량한 사업지에는 증권사의 부동산 PF 차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늑장 대응으로 이미 비싼 대가를 치렀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증권사 임원은 “레고랜드 사태 초기에 명확한 메시지만 냈더라도 문제가 이렇게 커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급한 불은 껐지만 부동산 PF 부실 위기가 해소된 것은 아니다. 한 중견 건설사 대표는 “올 들어 건자재와 인건비 인상으로 공사비가 20~30% 급등한 데다 미분양 물량도 증가세”라며 “내년에 수십조원의 PF 대출 만기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부실 사업장이 속출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내년 상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규모도 54조3400억원에 이른다.

이동훈/조미현/최석철/이혜인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