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사진=연합뉴스)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사진=연합뉴스)
코스피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과 정부의 유동성 공급 조치에 상승 마감했다.

24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04포인트(1.04%) 상승한 2236.16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14포인트(1.59%) 오른 2248.26으로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98억원, 3245억원 순매수했다. 개인은 4835억원 매도 우위였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상승했다"며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대감, 일본의 외환시장 개입, 레고랜드발 유동성 공급 압박에 정부가 50조원 유동성 공급 조치 발표에 투자심리가 개선됐다"고 말했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SDI가 각각 3%대 상승세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셀트리온은 2% 넘게 주가가 오른채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 LG화학도 1%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미 증시에서 주요 반도체 장비기업의 호실적 발표와 달러 약세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반등한 영향에 국내 반도체주도 강세를 보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의약품주도 강세를 보였다. 제약기업의 호실적 기대감과 화이자의 백신가격 인상 고려 소식에 백신 위탁생산 기업 및 제약업종 전반이 상승한 것이다.

레고랜드발 PF 시장 유동성 경직 우려에 정부가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발표한 영향에 증권주와 건설주도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 건설업 지수는 전일 대비 1.72포인트(2.38%) 오른 73.97에 마감했다. 증권업지수도 1.71% 올랐다.

반면 현대차기아는 각각 3%대 하락했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4% 하락한 1조5518억1900만원을 기록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02포인트(2.08%) 오른 688.50으로 마감했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95포인트(1.77%) 오른 686.43으로 출발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27억원, 1986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3164억원 매도 우위였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 HLB가 6% 넘게 급등했다. 엘앤에프, 리노공업은 각각 3%대 상승세를 보이며 거래를 마쳤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은 주가가 2% 넘게 올랐고 펄어비스, 천보는 각각 1%대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1원 내린 1439.7원에 마감했다.

지난주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Fed가 연말에 금리인상 속도조절을 고려할 수 있다는 소식에 반등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7% 상승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2.37%, 2.31% 올랐다.

정부의 대책 발표로 요동치던 채권시장도 다소 안정을 찾은 모습이다.

이날 채권시장에서 오후 고시 기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184%포인트 내린 연 4.311%로 집계됐다. 10년물 금리도 연 4.501%로 0.131%포인트 내렸다.

무보증 3년 만기 회사채(AA-) 금리는 연 5.599%로 전 거래일보다 0.137%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91일물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기업어음(CP) 금리만 각각 연 3.92%, 연 4.37%로 전 거래일보다 0.02%포인트, 0.12%포인트 올랐다.

정부는 전날 자금시장 경색을 풀기 위해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매입 한도는 16조원으로 올리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차환 등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는 3조원 규모 지원을 단행한다.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하기로 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