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대표적 민간 재개발 지역인 리브고슈를 찾아 주거·녹지 공간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대표적 민간 재개발 지역인 리브고슈를 찾아 주거·녹지 공간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수서역세권 개발 사업과 연계해 강남구 수서차량기지를 복합개발하는 구상을 밝혔다. 지역 기피시설로 전락한 철도 차량기지를 이전하는 대신 철로 상부를 인공 데크로 덮고 그 위에 주거·상업시설,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차량기지 존치·이전을 둘러싼 소모적인 논란에 마침표를 찍고, 고밀 개발 부지를 확보해 도시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차량기지 입체적 활용 필요”

오 시장은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대표적 민간 재개발 지역인 리브고슈를 찾아 “서울시가 관리하는 9개 철도차량기지 시설의 입체적 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선 서울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수서 지역의 도시 기능 강화를 위해 수서차량기지의 입체 복합개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각 해당 지역에서 다들 차량기지를 시 외곽으로 옮겨달라고 요구하지만 마땅한 지역을 찾지 못해 주민들이 원하지 않는 상태로 그냥 방치돼 있다”며 “리브고슈의 성공 사례를 참고해 복합개발하면 주변 지역의 토지 이용도가 높아지고 경제적 가치도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리 리브고슈 지역은 과거 철도·해상교통이 발달한 도심 공업지역이었지만, 1960년대부터 산업구조 변화에 뒤처지면서 낡고 오래된 공장과 창고가 모인 미개발 지역이 됐다. 파리시는 1990년대부터 이 일대 도시 환경 개선 차원에서 민간 자본을 유치해 지상 터널을 만들듯 철로 상부를 덮어 인공 지반을 조성하고 상업·공공시설, 민간·임대주택, 녹지공간을 개발했다.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건물의 고도 제한을 37m에서 137m로 대폭 완화하는 당근책도 나왔다.

“수서기지, 개발 시너지 커”

1994년 조성된 수서차량기지는 20만7904㎡(약 6만3000평) 규모다. 수서고속철도(SRT),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가 관통하는 교통 요지이자 강남구라는 지역적 이점을 갖고 있어 복합개발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다. 차량기지를 운영하는 서울시 산하 서울교통공사가 사업 주체가 돼 재정 투입 또는 민간자본 유치 방식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역세권 고밀 개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용적률 규제를 대폭 풀어주는 방안도 검토된다.

현재 서울시가 관리하고 있는 철도차량기지는 수서차량기지를 포함해 총 9곳이다. 조성 뒤 시간이 흐르고 각 차량기지 주변 개발이 활성화하면서 철로를 경계로 한 지역 단절과 그에 따른 불균형 개발의 부작용이 불거지고 있다. 해당 지역 정치인들과 기초단체장 선거 때마다 차량기지 이전이 단골 공약이 되는 이유다. 하지만 대체 부지를 찾지 못해 관련 논의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용산에도 적용 검토”

오 시장은 이날 수서차량기지 외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운영하는 용산차량기지의 복합개발 추진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용산차량기지는 서울시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데가 아니라 관리권을 가진 중앙정부와의 협의가 필요하다”며 “복합개발 검토 필요성을 정부에 건의하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수천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조달이 관건이다. 불확실한 사업성으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담할 수 없는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차량기지 이전을 고수하는 정치권과 각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사업 자체가 또다시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 시장은 “리브고슈 사례를 보니 철로 복합개발 지역이 주거나 업무공간 어느 용도로 쓰더라도 부족함이 없다”며 “민간의 창의적인 제안을 폭넓게 수용해 효과적인 실현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파리=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