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도정' 선언한 전남…미래 100년 성장동력 발판 다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산업으로 대도약 나선 전남
탄소중립 신산업 선도 전략 발표
신안에 국내 최대규모 해상풍력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중심 도약
유엔기후협약 당사국 총회 유치
우주산업·해양관광 벨트 구축
반도체·K바이오로 일자리 창출
"균형발전 선도…대도약 이룰 것"
탄소중립 신산업 선도 전략 발표
신안에 국내 최대규모 해상풍력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중심 도약
유엔기후협약 당사국 총회 유치
우주산업·해양관광 벨트 구축
반도체·K바이오로 일자리 창출
"균형발전 선도…대도약 이룰 것"
![김영록 전남지사(앞줄 왼쪽 다섯 번째)와 광주·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이 지난달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건의문을 내고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구축을 촉구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06785.1.jpg)
글로벌 에너지 중심지 도약
김 지사는 지난 22일 일본 오사카시에서 열린 한일해협연안 시도현교류 지사 회의에서 8.2기가와트(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과 그린수소 전 주기 산업생태계 구축 등 탄소중립 신산업을 선도할 ‘글로벌 전남’ 전략을 발표했다.전라남도는 신안 앞바다에 국내 최대 규모의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을 비롯해 그린수소 에너지섬 조성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전력을 쏟고 있다. 김 지사는 민선 8기 공약으로 ‘세계적 기후 위기에 대응해 글로벌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도는 2개의 전략과제와 12개의 실천과제로 구성된 글로벌 에너지 대전환 선도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전략과제는 글로벌 에너지산업 허브 구축이다.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운영 및 관리, 항만 기반 등 기업지원 체계를 갖춘 ‘해상풍력 융복합 산업화 플랫폼’ 구축과 ‘풍력발전 보급촉진특별법’ 제정에 공을 들이고 있다. 풍력발전 보급촉진특별법이 제정되면 인허가 기간을 5~6년에서 2년10개월로 줄일 수 있다. 내년 하반기 제정이 목표다.
두 번째 전략과제는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라남도는 여수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남중권에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를 개최해 탄소중립 실현을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광주시와 함께 2050년까지 9200만t의 탄소를 감축하고 탄소중립·에너지 대전환 기후동맹을 선언하겠다는 구상도 마련했다.
전남 주도, 남해안 경제공동체 완성
!['글로벌 도정' 선언한 전남…미래 100년 성장동력 발판 다진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29821.1.jpg)
전남 부산 경남 등 3개 시·도가 초광역 협력을 통해 탄성소재 핵심 기술 개발 및 고부가가치 사업화를 추진하는 남해안 탄성소재산업 벨트 조성도 추진한다. 전남은 원소재 생산 거점으로, 부산은 연구개발 기반으로, 경남은 부품 생산 거점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 벨트에는 전남 광주 부산 경남 울산 등 5개 광역자치단체가 참여해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전라남도는 기존 사업비 6858억원을 3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이 가운데 전남 사업을 1조5000억원 이상 반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첨단산업 중심 일자리 3만5000개 창출
민선 8기 전라남도는 첨단·전략산업에 30조원 규모 투자를 유치해 3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원대한 목표 실현에 다가서고 있다. 김 지사는 취임 석 달여 만에 총 43개 기업과 5조4000억원의 투자협약을 성사해 좋은 일자리 창출에 시동을 걸었다.K바이오 백신·면역치료 국가거점 구축, 2차전지 산업 생태계 확대 조성, 모빌리티 산업 고도화, 글로벌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 등도 미래를 내다보고 추진하는 핵심 사업들이다.
전라남도는 투자 기업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하기로 했다. 분양률 80% 미만 산단에만 주던 입지보조금을 전체 산단으로 확대 적용하고, 국가항 배후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연간 임대료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50억원)를 지원하는 내용을 신설했다. 근로자 기숙사 임차료 지원(5년간 최대 3억원), 국내 복귀기업 투자 지원(최대 50억원) 등의 투자 유도 방안도 새로 내놨다.
김 지사는 “국가적으로 볼 때 균형발전은 가장 큰 과제”라며 “반도체 특화단지 등 광주·전남 상생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경제공동체로 가는 지름길을 만들고, 지방소멸 대응 기금이 확대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무안=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