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인한 자금 경색이 금융시장에 혼란을 불러온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줄이어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31일 발표한 '기업대출 부실 징후 및 대응 방안'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전 10년 동안 기업 대출은 해마다 4.1%씩 증가했으나 최근 2년 반 동안에는 연 평균 12.9%씩 늘었다.

그 결과 기업 대출금액은 2019년말 976조원에서 올 상반기말 1321조원로 35.4%(345조원) 늘었다. 코로나19 위기 전 10년 간 증가폭(324조원)보다 더 많았다.

대출 상환능력도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다. 기업대출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2019년 37.7%에서 올해 39.7%(3월말 기준)로 상승했다.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17개국
중 한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기업 DSR은 이 기간 평균 0.5%포인트 낮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리스크에 직접 노출된 기업 비중도 크다. 전경련은 기업 10곳 중 7곳 이상(72.7%, 9월말 기준)은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상태라고 밝혔다. 고정금리부 대출을 쓰는 곳은 27.3%에 그쳤다.

취약 업종 혹은 경기민감 업종으로 분류되는 부동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대출 집중도가 높고,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기관을 통한 기업대출 비중이 금융위기 후 가장 높은 수준(29.7%)인 것도 기업들의 부실 우려를 키운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가 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업들이 자금난, 신용경색 등을 겪었다"며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도 사전에 강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