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핼러윈 참사 사망자 중에는 중·고교생 6명(부상 5명), 교사 3명이 포함돼 있다. 우리 사회에서 그나마 재난·안전 교육을 시행하는 곳이 일선 학교인데, 이번 사고는 학교 재난·안전 교육 현실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고 있다.

미국, 영국 등은 안전을 정규 교과로 지정해 실습 위주로 교육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선 독립교과로는 초등 1, 2학년 때 ‘안전한 생활’이 있을 뿐이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육부의 단계별 매뉴얼인 ‘학교 안전 교육 7대 영역 표준안’ 어디에도 군중 밀집 상황 관련 항목은 찾아볼 수 없다.

이번 사고 원인을 규명할 때 경찰과 관할 구청의 안일한 대응을 빼놓을 순 없다. 정부 대응 태세에 대한 재점검도 필요하다. 하지만 공권력과 행정기관이 모든 상황에서 개인의 안전을 지켜주리라고 기대하긴 어렵다. 무엇보다 안전에 대한 개인의 경각심과 주의, 타인을 배려하고 질서를 지키는 의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어떤 매뉴얼도 최종 안전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지진 탓이긴 하겠지만, 전 세계에서 안전교육이 가장 발달한 나라 중 하나인 일본은 초등학생들이 교내 마라톤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병원과 경찰서 등을 방문해 응급상황 대비책을 숙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달 초 북한이 일본 영공을 넘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초등학생들이 헬멧을 쓰고 일사불란하게 대피한 것도 평소 충분한 훈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고질적인 대형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개선책을 강구해내야 한다. 여기에는 안전교육의 체계적 재설계가 필수적이다. 국민들 역시 내 몸은 결국 내가 지킨다는 안전의식의 전환이 있을 때 사회 전체가 안전불감증을 떨쳐낼 수 있다. 그것이 꽃다운 젊은이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하는 길이며, 진정한 선진사회 진입을 위한 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