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엔총회 北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4년만에 참여 확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편적 인권, 원칙 기반 일관 대응 필요"…이달 중순 유엔총회 3위원회 통과 예상
한국 정부가 올해 유엔총회에 제출된 북한인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뉴욕 현지 시각으로 개최된 제77차 유엔총회 3위원회에 유럽연합(EU) 주도로 북한인권 결의안이 상정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임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 인권 문제가 보편적 인권의 문제로서 원칙에 기반한 일관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가 유엔총회 북한인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것은 4년 만이다.
유엔은 매년 상반기 인권이사회, 하반기 총회에서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해왔다.
총회 결의안은 통상 11월 중순에 인권 문제를 담당하는 3위원회를 통과한 뒤 12월 중하순께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최종 채택된다.
한국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해왔으나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불참했다.
대신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이뤄지는 컨센서스(전원동의)에는 참여하는 식으로 의사를 표시했다.
그러나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공론화를 중시하는 윤석열 정부는 출범 후 공동제안국에 복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정부는 EU가 주도하는 유엔 총회 북한인권 결의안 문안 협의에 올해 적극적으로 동참해 공동제안국 복귀는 예상되는 수순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임수석 대변인은 지난달 20일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며 "최종적인 입장은 결의안 문안 등 제반 요소를 고려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3위원회에 상정된 결의안 문안은 보통 정식 채택 전에 공개되지만, 올해 결의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해 결의안은 "오랫동안 진행 중인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 고문·자의적 구금·성폭력 ▲ 정치범 수용소 ▲ 강제실종 ▲ 이동의 자유 제한 ▲ 송환된 탈북자 처우 ▲ 종교·표현·집회의 자유 제약 ▲ 코로나19로 더 악화한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등의 내용을 담았다.
지난해 결의안에는 "미송환 전쟁 포로와 그 후손들에 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는 의혹을 우려한다"는 문구도 처음으로 포함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번에 상정된 EU 주도의 결의안은 과거에 비해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 유엔 회원국들 간의 협의를 통해서 초안에 대해 조정이나 (내용) 추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3위원회 결의안 채택 시기는 11월 중순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구체적 일자는 미정"이라고 덧붙였다.
국제사회의 인권 비판에 예민하게 반응해 온 북한은 이번에도 결의안 추진에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유엔 총회 북한인권 결의안이 3위원회를 통과한 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 "엄중한 주권 침해행위로 강력히 규탄하며 전면배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뉴욕 현지 시각으로 개최된 제77차 유엔총회 3위원회에 유럽연합(EU) 주도로 북한인권 결의안이 상정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임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 인권 문제가 보편적 인권의 문제로서 원칙에 기반한 일관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가 유엔총회 북한인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것은 4년 만이다.
유엔은 매년 상반기 인권이사회, 하반기 총회에서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해왔다.
총회 결의안은 통상 11월 중순에 인권 문제를 담당하는 3위원회를 통과한 뒤 12월 중하순께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최종 채택된다.
한국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해왔으나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불참했다.
대신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이뤄지는 컨센서스(전원동의)에는 참여하는 식으로 의사를 표시했다.
그러나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공론화를 중시하는 윤석열 정부는 출범 후 공동제안국에 복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정부는 EU가 주도하는 유엔 총회 북한인권 결의안 문안 협의에 올해 적극적으로 동참해 공동제안국 복귀는 예상되는 수순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임수석 대변인은 지난달 20일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며 "최종적인 입장은 결의안 문안 등 제반 요소를 고려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3위원회에 상정된 결의안 문안은 보통 정식 채택 전에 공개되지만, 올해 결의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해 결의안은 "오랫동안 진행 중인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 고문·자의적 구금·성폭력 ▲ 정치범 수용소 ▲ 강제실종 ▲ 이동의 자유 제한 ▲ 송환된 탈북자 처우 ▲ 종교·표현·집회의 자유 제약 ▲ 코로나19로 더 악화한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등의 내용을 담았다.
지난해 결의안에는 "미송환 전쟁 포로와 그 후손들에 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는 의혹을 우려한다"는 문구도 처음으로 포함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번에 상정된 EU 주도의 결의안은 과거에 비해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 유엔 회원국들 간의 협의를 통해서 초안에 대해 조정이나 (내용) 추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3위원회 결의안 채택 시기는 11월 중순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구체적 일자는 미정"이라고 덧붙였다.
국제사회의 인권 비판에 예민하게 반응해 온 북한은 이번에도 결의안 추진에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유엔 총회 북한인권 결의안이 3위원회를 통과한 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 "엄중한 주권 침해행위로 강력히 규탄하며 전면배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