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광명·과천·판교 잇는
'K37+ 벨트' 프로젝트 '속도'
4차 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
안양교도소 이전 부지 70%
공원·산업·주거시설로 계획
신도시 재정비, 주민의견 최우선
안양역 일대도 되살릴 것
최대호 안양시장은 1일 “산업과 기업 유치를 위해 특례제도를 정비하고, K37+(플러스) 프로젝트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최 시장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를 둘러본 뒤 안양을 ‘K37+ 벨트’로 만든다는 방안을 내놨다. 송도·광명·과천·판교를 잇는 가로축(미래 산업벨트)과 서울대 연구개발(R&D)센터·안양시청·모락산 등 세로축(문화·R&D산업벨트)의 중심인 안양시를 수도권의 산업과 문화 중심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박달, 명학, 호계, 관양, 평촌 등 총 5개 권역 3.29㎢ 부지에 각각의 주력 산업을 유치해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게 골자다. 부지 크기가 판교테크노밸리의 4~5배에 달한다. 그는 “시민 토론과 용역을 거쳐 K37+ 벨트 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와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안양의 지식산업센터에 다수 포진한 센서(sensor) 기업들을 안양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했다.
안양시는 1990년대 이후 비교적 발전 속도가 빨랐다. 1기 평촌신도시가 들어섰고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학군이 부각돼 인구 유입이 끊이지 않았다. 영화(榮華)는 그러나 점차 사그라들고 있다. 최 시장은 “도시에도 생로병사가 있듯 안양시 인구는 2012년, 2013년 60만 명을 기점으로 줄고 있다”며 “인근 신도시로 이주도 늘었지만, 일자리가 부족해 젊은이들이 떠나는 게 근본적 문제”라고 했다.
안양시엔 연 50억원을 넘는 법인세를 내는 기업이 없다. 원도심은 물론 1기 신도시(평촌)의 노후화도 부각되고 있다. 지리적 이점과 학군 덕에 집값은 여전히 경기도 도시 중 비싼 축이다. 최 시장이 베드타운인 도시의 개조를 강조하는 이유다. 그는 “미국에선 과거 산업의 중심지인 동부가 저물었고, 미리 변화에 준비한 캘리포니아 도시와 시애틀 등이 살아남았다”며 “안양시도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쇠락할 수밖에 없다는 절박함으로 K37+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K37+ 계획에는 안양교도소 이전도 중요한 과제다. 안양시 남부에 있는 교도소 부지 규모는 약 40만㎡에 달한다. 최 시장은 지난 8월 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안양교도소를 이전하되, 미결수를 위한 교정·법무 시설은 재건축한다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도소 완전 이전’을 요구하는 시민이 적지 않다. 최 시장은 “시가 과거 법무부의 교도소 재건축 협의 신청을 수차례 반려했지만, 2014년 대법원에서 패소한 뒤 더 이상은 수를 쓸 수 없는 상태”라며 “안양교도소에서 ‘안양’이라는 글자를 떼고, 부지의 70% 이상을 시가 넘겨받아 공원, 산업, 주거시설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안이 시민들에게 최선이라고 판단했다”고 했다. 시가 넘겨받는 부지를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1기 신도시 문제에 대해서 그는 “신도시별로 재정비 총괄기획가(MP)가 임명된 상황으로 주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낙후한 원도심의 환경 개선 사업과 (1기 신도시 재정비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는 점도 중요한 원칙”이라고 했다. 옛 상권과 교통의 요충지였던 안양역(안양로터리) 일대를 되살리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공사가 중단된 채 골조로 오래 남아 있던 안양역 앞 원스퀘어 건물의 공사가 최근 재개됐다”며 “안양역 주변 행정타운 조성 사업과 수암천 일대 공원화 사업이 완료되면 옛 안양 원도심도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고 말했다.
■ 최대호 안양시장
△1958년 전남 해남 출생
△연세대 원주캠퍼스 역사문화학과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박사
△필탑학원 이사장
△연세대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난치병아동돕기운동본부 공동대표
△사랑의 집수리 운동본부 본부장
△민선 5·7·8기 안양 시장
안양=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