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2030 매입 비중 다시 늘어…생초자 대출 완화 효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북 '급급매' 위주 매입…도봉·서대문은 9월 2030 비중 역대 최대
생애 첫 집 LTV 80%까지 확대…DTI는 그대로여서 영향 제한적 분석도
최근 감소세를 보이던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구입 비중이 지난달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생초자)에 대한 대출 확대 등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20대와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총 297건으로 전체 거래량(856건)의 34.7%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28.6%)보다 증가한 것이면서 올해 5월(37.4%) 이후 넉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올해 4월 42.3%까지 치솟은 뒤 증가와 감소를 거듭하다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폭이 가팔라지면서 올해 6월(24.8%)과 8월(28.6%)에는 각각 20%대로 떨어졌다.
감소세였던 2030 비중이 다시 높아진 것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으로 인한 극심한 거래 침체 속에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를 대상으로 금융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8월부터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에 대해 주택 소재지나 주택가격에 상관없이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고, 대출한도는 기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했다.
그러나 최근 금리 인상폭이 가파르고, 생초자에게도 예외없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고 있어 금융규제 완화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지역별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2030 매입비중이 다시 눈에 띄게 급증했다.
최근 아파트값 하락폭이 큰 노원구와 도봉구는 2030 매입 비중이 지난 8월 각각 24.4%, 38.2%에서 9월에는 46.7%, 57.7%로 확대됐다.
도봉구의 지난달 2030 매입 비중은 한국부동산원이 연령대별 매매거래 조사를 시작한 2019년 이후 월별로 역대 최대다.
도봉구 창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매수세 실종으로 거래량이 급감한 상태에서 그나마 결혼 등으로 내집마련이 필요한 2030세대가 생애최초 대출을 이용해 '급급매물'을 매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절대 거래량이 줄어든 상태에서 일부 연령대에서 몇 건만 거래돼도 비중은 올라간다.
실제 도봉구의 지난 9월 아파트 거래량은 총 26건으로 올해 들어 1월(26건)과 함께 월별 최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20대 이하 2건, 30대 이하 13건 등 15건을 2030세대가 매입했다.
강북구는 지난 9월 2030 매입비중이 44.4%로 2020년 10월(54.1%) 이후 1년11개월만에 가장 높았고, 역시 최근 아파트값 약세가 이어지고 있는 서대문구는 9월 2030 비중이 68.4%에 달해 조사 이래 최대였다.
마포구도 지난 7월과 8월 각각 31.6%, 21.7%였던 2030 매입 비중이 지난 9월 다시 47.6%로 높아졌다.
강남권에서는 최근 잠실 등에서 직전 최고가 대비 6억∼7억원 떨어진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송파구가 7월 28.3%, 8월 26.5%에서 9월에 다시 37.8%로 높아졌다.
서울과 달리 인천의 2030세대 비중은 7월 33.3%, 8월 34.9%에서 9월에는 32.9%으로 낮아졌고, 경기도는 8월 31.1%에서 9월 32.3%로 다소 높아졌다.
/연합뉴스
생애 첫 집 LTV 80%까지 확대…DTI는 그대로여서 영향 제한적 분석도
최근 감소세를 보이던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구입 비중이 지난달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생초자)에 대한 대출 확대 등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20대와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총 297건으로 전체 거래량(856건)의 34.7%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28.6%)보다 증가한 것이면서 올해 5월(37.4%) 이후 넉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올해 4월 42.3%까지 치솟은 뒤 증가와 감소를 거듭하다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폭이 가팔라지면서 올해 6월(24.8%)과 8월(28.6%)에는 각각 20%대로 떨어졌다.
감소세였던 2030 비중이 다시 높아진 것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으로 인한 극심한 거래 침체 속에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를 대상으로 금융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8월부터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에 대해 주택 소재지나 주택가격에 상관없이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고, 대출한도는 기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했다.
그러나 최근 금리 인상폭이 가파르고, 생초자에게도 예외없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고 있어 금융규제 완화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지역별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2030 매입비중이 다시 눈에 띄게 급증했다.
최근 아파트값 하락폭이 큰 노원구와 도봉구는 2030 매입 비중이 지난 8월 각각 24.4%, 38.2%에서 9월에는 46.7%, 57.7%로 확대됐다.
도봉구의 지난달 2030 매입 비중은 한국부동산원이 연령대별 매매거래 조사를 시작한 2019년 이후 월별로 역대 최대다.
도봉구 창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매수세 실종으로 거래량이 급감한 상태에서 그나마 결혼 등으로 내집마련이 필요한 2030세대가 생애최초 대출을 이용해 '급급매물'을 매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절대 거래량이 줄어든 상태에서 일부 연령대에서 몇 건만 거래돼도 비중은 올라간다.
실제 도봉구의 지난 9월 아파트 거래량은 총 26건으로 올해 들어 1월(26건)과 함께 월별 최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20대 이하 2건, 30대 이하 13건 등 15건을 2030세대가 매입했다.
강북구는 지난 9월 2030 매입비중이 44.4%로 2020년 10월(54.1%) 이후 1년11개월만에 가장 높았고, 역시 최근 아파트값 약세가 이어지고 있는 서대문구는 9월 2030 비중이 68.4%에 달해 조사 이래 최대였다.
마포구도 지난 7월과 8월 각각 31.6%, 21.7%였던 2030 매입 비중이 지난 9월 다시 47.6%로 높아졌다.
강남권에서는 최근 잠실 등에서 직전 최고가 대비 6억∼7억원 떨어진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송파구가 7월 28.3%, 8월 26.5%에서 9월에 다시 37.8%로 높아졌다.
서울과 달리 인천의 2030세대 비중은 7월 33.3%, 8월 34.9%에서 9월에는 32.9%으로 낮아졌고, 경기도는 8월 31.1%에서 9월 32.3%로 다소 높아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