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라스 어윈 다트머스대 교수
"세계화 속도 둔화된 '슬로벌라이제이션' 시대
탈세계화까지 진행되진 못할 것"
2일 열린 ‘글로벌인재포럼 2022’ 기조세션1은 ‘탈세계화와 신냉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더글라스 어윈 다트머스대 경제학과 교수,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최중경 한미협회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 골드만삭스 인터내셔널 회장 등이 발표자로 나섰다.
경제사학자이자 무역정책 전문가인 어윈 교수는 지금의 상황을 ‘슬로벌라이제이션(slowbalization)’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시진핑 주석 집권, 코로나19, 러-우크라 전쟁 등을 겪으며 세계화 속도가 둔화(slow)된 것은 맞지만 궁극적으로 탈세계화까지 진행되진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윈 교수는 “세계화가 끝나가냐고 질문한다면 ‘아니오(No)’라고 답하겠다”며 “자유무역이 가져다주는 경제적 이점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에 경제 주체들은 완벽하게 분리되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탈세계화 대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어마어마할 것”이라며 “지정학적, 정치적 파편화가 경제적 파편화로 이어지지 않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바호주 회장 역시 자유무역의 미래를 결정짓는 것은 정치적인 결정이라며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는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미중 갈등이 세계 통상질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발표자들은 입을 모아 “한국이나 일본같은 나라에 미국, 중국 중 하나를 택하라고 강요하는 것은 굉장히 부담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어윈 교수는 “개인적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이념은 친무역보다는 반무역에 가깝다고 생각한다”며 “동맹국들을 열린 무역체제 하에 포용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근 교수는 “미중 갈등이 앞으로 50년은 더 지속될 것”이라며 “한국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가입해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달러의 미래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미국이 국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펼치는 금리정책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만큼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바호주 회장은 “디커플링(탈동조화)은 금융질서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며 “향후 달러의 위상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정민/김세린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