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포가(秋浦歌)


삼천 장이나 되는 흰 머리
온갖 시름으로 올올이 길어졌네
알 수 없어라 거울 속 저 모습
어디서 늦가을 무서리 맞았는지.

白髮三千丈 緣愁似箇長
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


* 이백(李白, 701~762) : 당나라 시인.
-----------------------------
[고두현의 아침 시편] 가을 서리에 백발이 삼천장이라니!
이 시는 이백의 ‘추포가(秋浦歌)’ 연작 17수 중 15수입니다. 만년에 귀양에서 풀려난 그가 양쯔강 연안의 추포에 와서 지었는데 애상미의 극치를 보여주는 작품이죠.

삼천장(丈)이면 10㎞나 되는데…

이 시의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은 물론 과장된 표현입니다. 근심으로 허옇게 센 머리카락 길이가 3000장(약 10㎞)이나 된다고 했지만, 사실은 머리털보다도 끝없는 고뇌와 슬픔의 길이를 그렇게 은유적으로 묘사한 거죠.

백발은 노년과 쇠잔함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멜라닌 부족으로 생긴 자연현상이 아니라 힘들고 어려운 일이나 그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상징하기도 하지요.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힌 주흥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자문(千字文)’을 다 짓고 머리가 하얗게 돼버렸다는 것도 마찬가집니다. 같은 글자가 겹치지 않게 4자씩 짝을 지은 250구(句)를 하룻밤 새 완성했으니 오죽했을까요.

이처럼 추포가의 거의 모든 시행에는 ‘백발(白髮)’과 ‘추상(秋霜)’의 애수가 짙게 배어 있습니다. 그는 첫수에서 이렇게 읊조리지요.

‘추포는 늘 가을 같아 쓸쓸함이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나그네 근심 헤아릴 길 없어 동편 큰 누대에 올라보니/ 서쪽으로 장안이 바라보이고 밑으로는 흐르는 강물이 보이네/ 강물 향해 말 붙이노니 너는 날 생각하는가/ 내 한 움큼의 눈물을 멀리 양주까지 실어가 다오.’

2수에서도 ‘추포 원숭이들의 밤 시름에 남쪽 황산도 민둥산 되고/ 여기 청계는 농 땅의 강물 같지 않지만 애끊는 소리를 내며 흐르네/ 고향 가고 싶으나 못 가 잠깐 여행한다는 게 오래되고 말아 언제 가려는가 외로운 배에서 비 오듯 하는 눈물’(2수)이라며 애통해합니다.

간혹 ‘추포의 고운 금타조(錦駝鳥)는 천하에 드물어 산꿩이 물가에 나와서도 제 모습 비춰 보지 못하네’(3수)라며 풍물을 노래하다가도 금세 쓸쓸해 하곤 하죠.

그 호방한 ‘대붕(大鵬)의 비상’도

결국 그는 ‘추포의 노인은 고기 잡으러 강물 위에서 자고 아내와 아들은 황새 붙들려 대숲 깊숙이 그물 쳐 놓았네’(16수), ‘도파(桃波)는 좁은 곳이라 말소리 분명하게 들리나니 산 스님과 몰래 헤어지는데 고개 숙여 흰 구름에 절하는구나’(17수)라며 시구를 끝맺습니다.

‘한 번 마시면 삼백 잔(一飮三百杯)’이라고 할 정도로 호방했던 풍류시인 이백. 그가 이 시에서는 유독 술 항아리와 달빛 대신에 깊은 회한과 쓸쓸함을 토로했으니, 몇 년 뒤 생을 마감할 것을 벌써 알고 있기라도 했던 것일까요.

그의 생애는 길에서 시작해 길에서 끝났습니다. 20대부터 양쯔강을 따라 전국 각지를 편력한 그는 한때 도교에 심취해 산중에서 지내기도 했죠. 그러나 그의 방랑은 정신의 자유를 찾는 ‘대붕(大鵬)의 비상(飛翔)’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세속 너머로 비상하는 대붕의 꿈.

그 호방한 기상이 만년에 와서 이렇듯 맥없이 꺾어지고, 세상 무서울 것 없던 젊은 날의 열정도 서리 맞은 낙엽처럼 변해버리다니! 그래서 늙은 이백의 공허함과 외로움은 다른 사람들의 그것보다 훨씬 컸으리라고 짐작해 봅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