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먹튀 논란'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 지금도 '재직 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류 전 대표, 카카오페이 고문으로 재직중
상장 한 달 만에 스톡옵션 행사
논란 확산에 올 1월 자진 사퇴
카카오 "통상적 절차에 따른 것"
전문가 "부적절…도덕적 해이 심각"
상장 한 달 만에 스톡옵션 행사
논란 확산에 올 1월 자진 사퇴
카카오 "통상적 절차에 따른 것"
전문가 "부적절…도덕적 해이 심각"

4일 업계에 따르면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는 카카오의 공동체 대표 퇴임 프로그램에 따라 현재 카카오페이 고문을 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 전 대표는 카카오페이 상장 직후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으로 취득한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치워 회사 안팎에서 거센 비판을 받고 올 1월 자진 사퇴했다. 당시 정부와 국회에서는 '카카오페이 먹튀 방지법'이 논의될 만큼 여론이 악화했다.
통상 국내 대기업은 예우가 필요한 고위직 퇴직자를 고문으로 위촉할 때 퇴임 당시 연봉의 70~80%와 차량, 비서, 사무실 등을 제공한다. 류 전 대표의 작년 기본급은 4억5900만원이다. 통상적인 계약대로라면 류 전 대표의 고문 급여는 3억5000만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임기는 보통 1~3년이다.
카카오 "다수 기업의 통상적 절차에 준한 것"
업계 "물의를 빚고 사퇴한 경우엔 고문 예우 제외"
카카오는 류 전 대표를 카카오페이 고문으로 위촉한 배경에 대해 "전임 대표이사의 동종업계 이직 방지를 통해 영업기밀을 보호하고, 원활한 업무 인수인계를 통해 경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어 "(이런 목적에 따라) 카카오 공동체는 대표이사 퇴임시 고문 계약을 제안하고 있으며, 당사자가 수락하면 고문 계약이 체결돼 일정 기간 사내에 잔류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수 기업의 통상적 절차에 준해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대기업그룹 관계자는 "고문직을 제안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예우를 갖추는 차원의 의미도 크다"며 "아무리 공헌한 바가 큰 CEO(최고경영자)라도 회사에서 큰 물의를 일으키고 물러났다면 이런 예우에서 제외되는 게 당연하다"고 했다.
"카카오의 도덕적 수준 보여주는 것" 비판
국내 정보기술(IT) 업계 전문가이자 카카오 내부 사정에 정통한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며 "작년 이후 카카오가 지금처럼 위상이 무너진 핵심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류영준 전 대표가 촉발한 도덕적 해이 논란이었는데, 그를 다시 고문으로 위촉했다는 사실은 카카오가 문제가 될 상황을 또 다시 스스로 만드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카카오 그룹사의 한 직원은 "직원들은 주가 하락으로 고통이 큰데, 류 전 대표는 회사에 큰 해악을 끼치고도 주식을 되사거나 퇴직금을 포기하기는커녕 지금도 보수를 받으며 고문 대우를 받고 있다는 데 큰 배신감을 느낀다"며 "김 의장의 '내 사람 챙기기'가 지나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먹튀 논란' 이후 하락세 카카오페이 주가
류 전 대표는 카카오페이 상장 약 한 달 후인 작년 12월 10일 다른 카카오페이 임원 7명과 동시에 스톡옵션으로 취득한 주식 44만993주를 처분해 도덕적 해이 논란을 빚었다. 류 전 대표는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인 23만주를 매각했다. 당시 그가 현금화한 금액은 약 469억원으로 알려졌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