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치하나 했더니 실망"…이태원 참사 후 여야 지지율 다 빠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론조사서 尹·與·野 지지율 다 하락
전문가들 "사태 수습·예방책 마련해야"
전문가들 "사태 수습·예방책 마련해야"

하지만 사건 발생 수 시간 전 심각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다수 접수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여야 공방이 다시 시작됐다. 야권에서는 정부와 경찰의 대응 미흡, 경찰의 '셀프 수사'를 파고들며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고, 여권에서는 '검수완박법(검찰수사권 완전 박탈) 개정이 먼저'라며 역공하고 있다.
참사 뒤에도 공방

방식에 대해서는 여야간 입장 차가 너무 커 난항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야당은 정부 책임론을 거론하며 반드시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 여기에 그간 사안별로 입장차를 보이던 정의당까지 민주당과 함께 국정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민주당과 정의당은 국민의힘이 국정조사에 참여하도록 설득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끝내 거부할 경우 야당의 힘만으로 국정조사 계획서를 제출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이를 두고 여권과 여론 일각에서는 "야당에서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경찰 녹취록 발표 후에는 '상황을 제대로 따져보자'는 식으로 여론이 바뀌었다"면서 "각자 상황에 따라 정치권 셈법이 매우 복잡해졌다"고 설명했다.
사태수습, 그리고 예방책

앞서 한경닷컴이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의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건이 발생한 핼러윈 전 토요일 9~10시경은 매년 인파가 평소보다 3배가량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을 미리 진단해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지하철 과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국토부 차원에서 철도회사들에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처럼 정부 부처나 국회에서도 유사 사건이 발생할 있는 곳을 미리 진단해 대응 시스템을 갖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정치권 다 별로"…尹·與·野 지지율 다 하락

이는 정부는 물론 여야에 실망감을 드러낸 이들이 적지 않은 탓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 공방보다는 의혹 해소, 예방책 마련으로 협치하는 모습을 보여줘야한다는 주장도 대두된다.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장은 "어떤 이해관계나 정파와 무관하게 사회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하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면서 "보다 생산적인 논의를 통해 사태가 수습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사회적 공론장 역할을 자처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신현보/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