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하나로는 혁신 서비스 못 내…산업·분야 경계 넘어 협업해야"
“기술을 한 가지 개발했다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그 기술이 서비스나 사업으로 실현돼야 사람들에게 가치를 줄 수 있어요. SK텔레콤이 기술·투자·사업 ‘3박자’를 맞추려는 이유입니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래연구개발(R&D) 담당(사진)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KAIST 공학 석·박사 출신인 그는 SK텔레콤의 신기술 기반 사업 개발과 투자를 이끌고 있다.

이 담당은 SK그룹을 통틀어 7년 연속 ‘발명왕’에 오른 인물이다. 200개가 넘는 국내외 특허를 갖고 있다. 기술을 개발해 사업화한 경험도 그만큼 많다. 유료방송과 모바일 영상 간 시차를 기존 15~30초에서 3초로 줄이게 한 ‘초저지연 모바일 생중계’ 기술이 그런 예다. 이 기술은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모바일 생방송 등에 활용됐다. 이를 활용한 ‘T라이브스트리밍’은 고화질 영상전송 기술(MMT) 분야에서 국제 표준기술이 됐다.

이 담당은 “서비스는 특정 기술 하나만 있어서 되는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시기에 혁신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선 산업·분야 간 경계를 넘는 협업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국내외 유망 기술기업을 발굴해 협력하는 ‘테크콤비네이션’ 프로그램을 지난 5월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술 개발과 사업화, 투자 집행 등을 통합해 운영한다. 기존엔 다른 기업에 투자를 벌일 때 기술 실사 단계에 가서야 R&D 조직이 관여하는 식이었다면 이젠 R&D 조직이 투자처 모색부터 함께한다.

투자한 기업과 기술 개발을 함께해 가치를 높이기도 한다.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기업 씨메스와는 인공지능(AI)·로보틱스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이를 적용한 로봇팔을 물류센터에 도입하는 식으로 신규 사업모델을 만든 뒤 최근 100억원을 추가로 투자했다. 이 담당은 “물류센터에서 사람이 가장 하기 어렵고 다치기 쉬운 1인 상하차 작업에 씨메스 로봇팔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미래R&D 조직은 정기적으로 ‘테크 인텔리전스 리포트’를 발간한다. 신기술 몇 개를 정해 기술 내용과 사업화 사례, 투자 포인트를 정리한 내부용 보고서다. 이 담당은 “조직 내에서 ‘기술 기상청’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이전에 비해 기술 사이클이 확 짧아져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요즘은 새로운 기술이 쏟아지고 있어 매번 개별 신기술을 전공한 박사급 인력을 채용해 조직을 꾸리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젠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많은 기술을 빠르게 학습해 적용할 수 있는 인재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도심항공교통(UAM)과 로봇 등 물리적 요소를 지능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티드 인텔리전스’ 사업이 대표적인 예다. UAM은 아직 어느 기업도 상용화 구현을 하지 못한 분야라 전문가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땐 UAM에 필요한 통신·AI 등에 강점이 있는 인력을 모아 신사업을 익히게 해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담당은 “향후 30년간 SK텔레콤의 주요 먹거리가 될 수 있는 사업을 찾고 있다”며 “AI와 디지털인프라 관련 서비스를 꾸준히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