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김범준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김범준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현재 일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일부 금융회사들에게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 소재를 묻겠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7일 외신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채안펀드 지원을 받은 중소형 증권사를 거론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최근 단기자금시장에서 자금조달 애로가 있었지만 이것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유동성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정책당국은 일시적 어려움을 겪는 증권사 등 특정부문에 한정해 선별적으로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화펀드'(채안펀드)를 조성하고 한국은행과 산업은행 등을 통한 기업어음(CP),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등 총 50조원+알파(α) 규모의 시장안정화조치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특히 부동산 경기가 부진함에 따라 금감원은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유동성 리스크 관리 강화를 지도하고 익스포저가 큰 증권사·사업장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히 점검해나갈 계획이다.

이 원장은 "단기 성과에 집착해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소홀히 한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그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를 병행하겠다"며 "도덕적 해이를 막고 지나친 수익성 일변도 영업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상적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는 금융사의 자금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채권시장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부동산 PF 취급 규모가 큰 증권사에 대규모 유동성을 지원하는 조치의 적절성과 관련해서는 "유동성 지원을 받는 증권사가 스스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자구 계획 이행 여부 등을 철저히 관리해 도덕적 해이가 없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은행의 건전성 지표는 대체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 손실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으나 6월 말 기준 이 비율은 15.29%로 나타나 모든 은행이 규제 비율(10.5%)을 큰 폭 웃돌았다.

이 원장은 최근 환율 급등으로 국내은행의 외화부채가 크게 늘어난 데 대해서도 "은행의 외화자산 규모가 외화부채보다 크고 외화포지션 관리, 환 헤지 등 리스크관리를 하고 있어 환율변동이 은행의 건전성·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규모가 큰 한국에서 금리가 급등하면서 차주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새출발기금, 저금리 대환대출, 안심전환대출 등 취약차주 지원방안을 마련해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은행권의 양호한 건전성 측면에서 한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