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美 중간선거, 국내 증시 훈풍 기대…"반도체·방산株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진행된 여덟 차례 중간선거에서 S&P500 지수는 선거 이후 1년간 평균 13.3% 상승했다. 이정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미국 중간선거 직후 평균적으로 횡보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도 “기업 실적 하향 경로가 지금과 비슷한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당시에는 이듬해 4월까지 주가가 반등했다”고 말했다.

이재선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에너지 자립과 국가 안보에 대해선 이견이 없다”며 “반도체 관련주는 이익 하향 조정이 진행되고 있지만 미국 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투자 확대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에 따른 자동차 관련주 수혜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IRA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되지 않은 전기차는 보조금 7500달러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아직 미국에 전기차 생산공장이 없다. 공화당은 민주당과 달리 자국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일부 전기차 소재와 부품은 외부 조달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