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이코노미] 효율성 높은 반도체산업, 회복성 낮은 이유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6) 디지털 경제와 효율성
회복력 시대에 필요한 적응하고 공감하는 삶의 방식 전환이 필요.
회복력 시대에 필요한 적응하고 공감하는 삶의 방식 전환이 필요.
효율성과 회복성은 상충관계다. 효율성을 추구할수록 회복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카카오의 데이터센터 화재로 일상이 멈췄던 사건도 같은 맥락이다.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반복 및 중복으로 비효율적인 일이다.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고, 운영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순익을 갉아먹는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더딘 회복으로 이어지는 이유다.
비단 카카오 사태만이 아니다.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성과 회복성의 상충을 찾아볼 수 있다.
반도체 산업도 그중 하나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세계 반도체의 공급이 부족해졌다. 디지털 세상인 오늘날 반도체 없이 가능한 서비스는 거의 없다. 문제는 복합 반도체를 생산하는 일은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반도체 생산을 위한 거대 제조시설 건설은 물론이고 비상시 가동할 수 있는 완충장치와 잉여재고의 확보, 즉시 가동할 수 있는 백업 제조시설의 보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인력 운영과 같은 ‘비효율’적인 부분도 갖춰야 하는 탓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비효율을 반길 리 없다. 결국 반도체산업 내에서는 효율을 극대화한 일부 기업만이 경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그 대가로 회복력은 떨어졌다.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로 칩을 공급할 수 없다면, 아무리 효율성 높은 공장이라 한들 소용없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마스크나 휴지 같은 생필품을 구하지 못하는 현상도 마찬가지다. 미국이 대표적이다. 미국은 오랜 기간 효율성을 추구한 결과 제조 기반을 개발도상국으로 이전하고 금융과 서비스 기반으로 경제를 재편했다. 이를 통해 역사상 가장 효율적인 경제 엔진을 장착했지만, 예기치 못한 위기상황에서는 기본적인 니즈조차 해결할 수 없었다. 슈퍼마켓과 약국의 텅 빈 진열대가 이를 방증한다.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인 마코 루비오는 뉴욕타임스 논평을 통해 미국 경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보수든 진보든 미국 정계와 재계의 지도자들이 회복력보다 경제적 효율성, 중산층 육성보다 재정적 이익, 공공의 이익보다 개인의 풍요를 중요시하는 사회 구조를 선택했다고 지적했다.
비단 카카오 사태만이 아니다.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성과 회복성의 상충을 찾아볼 수 있다.
반도체 산업도 그중 하나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세계 반도체의 공급이 부족해졌다. 디지털 세상인 오늘날 반도체 없이 가능한 서비스는 거의 없다. 문제는 복합 반도체를 생산하는 일은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반도체 생산을 위한 거대 제조시설 건설은 물론이고 비상시 가동할 수 있는 완충장치와 잉여재고의 확보, 즉시 가동할 수 있는 백업 제조시설의 보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인력 운영과 같은 ‘비효율’적인 부분도 갖춰야 하는 탓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비효율을 반길 리 없다. 결국 반도체산업 내에서는 효율을 극대화한 일부 기업만이 경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그 대가로 회복력은 떨어졌다.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로 칩을 공급할 수 없다면, 아무리 효율성 높은 공장이라 한들 소용없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마스크나 휴지 같은 생필품을 구하지 못하는 현상도 마찬가지다. 미국이 대표적이다. 미국은 오랜 기간 효율성을 추구한 결과 제조 기반을 개발도상국으로 이전하고 금융과 서비스 기반으로 경제를 재편했다. 이를 통해 역사상 가장 효율적인 경제 엔진을 장착했지만, 예기치 못한 위기상황에서는 기본적인 니즈조차 해결할 수 없었다. 슈퍼마켓과 약국의 텅 빈 진열대가 이를 방증한다.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인 마코 루비오는 뉴욕타임스 논평을 통해 미국 경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보수든 진보든 미국 정계와 재계의 지도자들이 회복력보다 경제적 효율성, 중산층 육성보다 재정적 이익, 공공의 이익보다 개인의 풍요를 중요시하는 사회 구조를 선택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