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특위, 행안부·경찰청 보고받아…용산서장 '차량 이동' 경위 등은 파악 못해
[이태원 참사] 與 "지방-중앙정부 연계 사회적 재난 대응시스템 미비"
국민의힘 '이태원 사고조사 및 안전대책특별위원회'는 11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으로부터 참사 당일 대응 상황을 보고받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에서는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우종수 경찰청 차장이 참석했다.

대책특위는 행안부를 대상으로 장관에 대한 보고체계, 재난 문자 발송, 대피 명령, 위험구역 설정, 응급의료시스템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자연 재난과 달리 이번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회적 재난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연계된 대응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점도 짚었다.

아울러 의료인 등 당시 현장 직원들의 심리치료를 위한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두고 행안부와 의견을 나눴다.

경찰청을 향해서는 부실한 초기 대응을 지적하면서 철저하고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소재를 가려달라고 주문했다.

다만, 대책위는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참사 당일 왜 차량 이동을 고집했는지, 현장 상황을 보고 받은 정확한 시점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대책특위 위원장을 맡은 이만희 의원은 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녹사평역에서 내려 현장까지 걸어가면 5분 정도면 갈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차를 타고 다녔는지에 대해선 지금까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의원은 이어 "(이 전 서장이) 정확하게 현장 상황을 보고받은 시점에 대해서는 우종수 차장도 파악을 못 하고 있다"며 "특수본이 독립적으로 수사하고 있기 때문에 일체 보고를 받고 있지 못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9일 용산경찰서를 찾았던 대책위는 오는 15일 용산구청을 방문하고, 18일에는 안전 관련 전문가와 간담회를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