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가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당시 재난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실을 설치해 운영했다고 발표한 것을 놓고 거짓말 논란이 불거졌다.

11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용산구에서 받은 ‘10월 29일 용산구청 당직일지’를 근거로 용산구가 그간 이태원 참사 전부터 설치해 재난 상황에 대응해왔다고 밝힌 상황실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용산구는 그간 참사 14분 뒤인 밤 10시29분 소방당국의 연락을 받고 참사 사실을 알았다고 해왔다. 하지만 당직일지에 따르면 당시 당직실은 상황실에서 연락받지도 못했고 당직실의 주요 역할인 비상연락망 또한 가동하지 않았다. 사고 당일 밤 10시45분까지 받은 민원은 총 12건으로 불법 주정차 신고가 11건, 물 넘침 신고가 1건이었다. 이태원 참사 관련 내용은 사고 다음날 새벽 3시부터 시작된다. 자녀가 귀가하지 않았다며 신원 확인을 요청하는 전화였다. 용산구는 이때부터 새벽 5시52분까지 이어진 10건의 이태원 참사 실종자 문의 민원에도 ‘알 수 없다’고만 응대했다.

용산구 측은 참사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29일 밤 10시50분께 현장에 도착한 뒤 비상연락망 가동을 지시했고, 11시에는 긴급상황실을 설치해 비상대책회의를 했으며, 30일 0시20분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사고 수습 지원에 나섰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당직일지에 따르면 이는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는 게 용 의원 측 주장이다.

용 의원은 “박희영 구청장은 ‘상황실이 지휘했다’ ‘긴급상황실을 설치했다’ ‘사고대책본부에 있었다’는 등 계속 거짓 진술을 번복하고 있는데 당직실 상황을 보면 용산구 컨트롤타워는 부재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용산구는 구청 간부를 중심으로 상황실을 설치했다고 해명했다. 당직실 이름이 종합상황실이라서 오해할 수 있지만 별도의 이태원 참사 상황실을 설치했다는 설명이다. 용산구 관계자는 “박 구청장은 밤 11시께 당직실과 별개의 긴급상황실 설치를 지시했고, 현장 구조를 마치고 0시50분에 구청으로 돌아와 회의를 주재했다”며 “당직실에서 이를 모른 것은 당시 긴박한 상황에서 당직실에 내용이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