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사건에도 연루…수사 상황 따라 추가 기소 가능성
'국정농단 수사' 박수받던 박영수, '공짜 포르쉐'로 법정행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해 역대 특별검사 중 최고 성과를 냈다고 평가받은 박영수 전 특검이 '가짜 수산업자 사건'에 휘말려 피고인 신분으로 전락하는 신세가 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김수민 부장검사)는 14일 박 전 특검을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다.

수산업자를 사칭한 김모(44·복역 중)씨로부터 2020년 86만원 상당의 수산물을 받고, 대여료 250만원 상당의 포르쉐를 무상으로 이용하는 등 총 336만원을 수수한 혐의다.

박 전 특검은 2016년 10월 박 전 대통령의 '비선 실세' 최순실 씨(개명 후 최서원)의 태블릿PC 공개 보도로 국정농단 의혹이 커지자 특검으로 임명돼 수사를 진두지휘했다.

검찰에 몸담았을 때 '정통 특수통', '재벌잡는 강골' 등과 같은 별칭을 얻을 만큼 뛰어난 수사력을 인정받은 대검 중수부장 출신의 그가 국정농단 특검에 적임자라는 데 이견은 없었다.

특검팀은 최씨에서 파생된 삼성 등 대기업 뇌물, 국민연금공단의 삼성 합병 찬성, 최씨 딸 정유라씨의 이화여대 부정입학,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 등을 파헤쳐 박근혜 정권 최고 실세로 통한 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 30여명을 재판에 넘겼다.

기소 이후에도 공소 유지 차 특검 신분을 유지하던 그는 지난해 7월 김씨에게 포르쉐 렌터카를 받은 의혹이 불거지면서 특검팀 출범 4년 7개월 만에 불명예 사퇴했다.

당시 박 전 특검은 포르쉐 무상 제공 의혹에 대해선 '렌트비를 지급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냈다.

다만 이모(49) 현직 부부장검사를 김씨에게 소개해준 것에 도의적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한다고 했다.

그러나 검찰은 박 전 특검이 김씨에게 렌트비를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그를 재판에 넘겼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사건에도 연루돼 있다.

그는 2015년 대장동 개발사업을 추진한 화천대유(대주주 김만배 씨)의 고문 변호사로 일하며 연 2억원의 고문료를 받다가 2016년 말 국정농단 수사 특검으로 임명되면서 고문직을 그만뒀다.

대장동 개발업자들의 금품로비 대상으로 일컬어지던 '50억 클럽'에도 이름이 올라 있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에서 근무하다 지난해 퇴직했고, 인척인 이모씨는 위례 신도시·대장동의 분양 대행을 맡는 대가로 민간업자들에게 로비 자금을 대 준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 전 특검은 올해 1월까지 두 차례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대장동 비리 수사팀을 재편해 관련 의혹 전반을 다시 살펴보고 있는 만큼 수사 경과에 따라 박 전 특검이 추가 기소될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