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中과 협력할 준비"…시진핑 "세계가 양국관계 개선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中 정상 첫 대면 회담
바이든 "기후변화·식량 불안 등
글로벌 도전과제 中이 핵심 역할"
習 "역사를 거울 삼아 미래로
양국 공동발전 위해 힘 합치자"
美·中 대화채널 일부 복원 가능성
바이든 "기후변화·식량 불안 등
글로벌 도전과제 中이 핵심 역할"
習 "역사를 거울 삼아 미래로
양국 공동발전 위해 힘 합치자"
美·中 대화채널 일부 복원 가능성
미국과 중국의 ‘신냉전’이 격화하는 가운데 첫 대면 정상회담을 한 양국 정상은 극단적 충돌을 자제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기후변화, 식량 부족 등 문제에서 중국의 책임 있는 대응을 주문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양국 관계를 바른 궤도로 돌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전략적 문제들에 대해 솔직한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상호 역할 주문한 미·중 정상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15일 개막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했으며 이를 계기로 14일 대면 정상회담을 했다. 두 사람은 서로를 보자마자 반갑게 웃으며 긴 악수를 했다.두 사람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부통령이었던 바이든이 2011년 중국을 방문해 당시 부주석이었던 시진핑과 회동하면서 만남을 이어왔다. 이후 18개월간 양국을 오가면서 최소 여덟 차례 만났고, 식사한 시간만 25시간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발리 회담은 2017년 1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회동한 이후 첫 대면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은 경쟁이 충돌로 변하지 않도록 차이점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이 기후변화에서부터 식량 불안정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도전 과제를 다뤄나가는 데 핵심 역할을 해줄 것으로, 그리고 우리가 협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 세계는 기대하고 있다”며 “중국 역시 이를 바란다면 미국은 바로 그렇게 할, 여러분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늘 그래왔듯 솔직한 대화를 기다려왔다. 기회를 줘서 고맙다”며 “대면 소통을 대체할 수단은 거의 없는 것 같다”며 얼굴을 마주한 반가움을 표현했다.
시 주석은 “국제사회는 중·미가 상호 관계를 잘 처리하길 보편적으로 기대한다”며 “우리는 각국과 함께 세계 평화를 위해 희망을 증진하고, 세계 안정을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공동 발전을 위해 힘을 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함께 중·미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 궤도로 되돌려 두 나라를 복되게 하고 세계에 혜택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은 또 “중·미 양국 접촉 및 수교 이후 지금까지 50여 년의 곡절 끝에 얻은 것도 있고, 잃은 것도 있고, 경험도 있고, 교훈도 있다”며 “우리는 역사를 거울삼아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우리는 중·미 두 강대국의 지도자로서 방향을 잡는 역할을 해야 하며 양국 관계를 위해 올바른 발전 방향을 찾고 중·미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긴장 완화되나
이번 회담은 시기적으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지난 8월 대만을 방문한 이후 양국 간 갈등이 크게 격화하면서 주요 대화 채널까지 단절된 상태에서 성사된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시 주석이 지난달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했고, 바이든 대통령도 최근 중간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면서 향후 2년간 안정적으로 대외정책을 펼칠 기반을 마련한 상황에서 열렸다.이런 이유에서 다자 정상회담을 계기로 부수적으로 열리는 통상적인 양자 회담과 달리 이번 회담에서 미·중 양국은 양국 관계, 경제, 대만 및 북한 문제를 비롯한 역내 이슈,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세계정세, 기후변화와 보건 협력 등 글로벌 이슈 등에 대해 심도 있고 포괄적인 논의를 했다.
이에 따라 펠로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미국 정치인들의 잇따른 대만 방문으로 격화했던 양국 갈등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표면적으로나마 완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또 중국이 중단했던 기후변화 등 8개의 미·중 대화 채널 중 일부를 복원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